바이오·제약

12세~18세 청소년 대상 'STEP TEENS 연구' 2차 분석 결과 최초 공개

비만약 게임 체인저 ‘위고비’, 청소년에 체중 감량 효과는?

주 1회 주사하는 비만 치료 신약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티드)'에서 비만 청소년들의 체중 감소 혜택이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세~18세의 비만 청소년들이 위고비 치료를 받은 경우, 절반 가까이 과체중 또는 정상 체중으로 체중이 감소한 것이다. 내년 상반기 중 국내 처방약 시장 진입이 예상되는 가운데, 비만약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할 것으로…

상분리 현상이 뭐길래? … “분할시 균일성 떨어져 허가된 효능 기대 어려워”

콜대원키즈펜시럽 회수조치 받은 대원제약 “제제개선 연구로 문제 해결”

어린이 감기약 콜데원키즈펜시럽에서 상분리 현상이 발견돼 회수 및 잠정 제조·판매 중지 조치를 받은 대원제약이 제제개선 연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상분리는 투명액(맑은액)과 불투명액(흰색)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뜻한다. 대원제약 어린이 감기약 '콜대원키즈펜시럽'은 한포 용량은 5ml이다. 사용 설명서에 따르면 최소 1회…

자체 AI 플랫폼 ‘케미버스' 이용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

파로스아이바이오, 증권신고서 제출 …7월 코스닥 상장 예정

인공지능(AI) 기반 혁신 신약 개발 기업 파로스아이바이오(대표이사 윤정혁)는 18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2016년에 설립된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자체 AI 플랫폼 기반의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이 주력사업이다. 확보한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자문위, '오베티콜산' 검토 결과 부정 평가...경쟁약 ‘레스메티롬’ 6월 허가 신청 앞둬

NASH 최초 신약 등장 물거품?…허가 재도전에도 ‘빨간불’

상반기 예상되던 최초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의 허가 전망에 먹구름이 꼈다. 신약 신청서 제출이 가장 빨랐던 인터셉트의 ‘오칼리바(성분명 오베티콜산)'가 낮은 효능과 심각한 부작용 문제 등을 지적받으며 승인 가능성이 희박해졌기 때문이다. 현재 상업화 단계에 근접한 NASH 치료제 후보군은 인터셉트가 개발한 오칼리바와 마드리갈의…

식약처, 상분리 현상 발생 따라 시중유통제품 회수 권고

대원제약 어린이 감기약 ‘콜대원키즈펜시럽’ 제조·판매 중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최근 ‘상분리’ 현상이 확인된 대원제약의 ‘콜대원키즈펜시럽’에 대해 사용기한이 남은 모든 제조번호에 대해 ‘자발적 회수’를 하도록 권고하고 잠정 제조·판매중지 조치했다고 밝혔다. 상분리는 투명액(맑은액)과 불투명액(흰색)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 식약처는 ‘콜대원키즈펜시럽’ 및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기관 및 기업, 연구 단체 총 33곳 참여, 컨소시엄 구축 "개발 자금 조달 목표"

치료법 없는 초희귀질환 8가지…신약 개발 앞당긴다

초희귀질환 관리를 위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글로벌 컨소시엄이 구성된다. 정부와 민간 기업, 연구 단체들이 맞손을 잡은 이번 프로젝트는 신약 개발부터 임상시험, 제품 검증까지 최소 규제기준을 만들어 신약의 허가를 앞당기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치료제 진입이 어려운 초희귀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 분야에 공공-민간 협력 사업이…

듀얼 액션 기능으로 알파시누클레인 직접 타깃·신경세포 보호 효과

카이노스메드 ‘KM-819’, 미국 임상2상 진입…파킨슨 환자에 투여

혁신 의약품 개발 기업 카이노스메드는 'KM-819'를 미국 임상2상 part1b에 진입해 파킨슨병 질환자에게 투여를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KM-819는 그동안 건강한 사람에게 투여를 하면서 안전성을 입증해왔다. 파킨슨병 질환자에게 KM-819를 투여하는 것으로 미국 임상2상 Part1b의 시작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환자에게 투여될…

대웅제약 종근당 장기지속형 주사 개발, JW중외제약은 Wnt 신호경로 치료제 개발

제약업계 탈모치료제 개발 치열 …어느 회사가 앞서나?

제약업계의 탈모 치료제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현재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경구제인 피나스테리드(제품명 프로페시아), 두타스테리드(제품명 아보다트)의 제형을 변경한 장기지속형 주사형 제제 개발이 본격 진행되고 있다. 또 모낭 줄기세포에 있는 Wnt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해 모낭 증식과 모발 증식을 촉진시키는 새로온 기전의 탈모치료제 개발도 진행되고…

올해 3월 합병 공식화...일부 항암제 품목 독과점 문제 해결 남아

화이자-씨젠 합병, 거래 완료까지 넘어야 할 산은?

글로벌 빅파마 화이자와 항암제 전문 바이오테크 씨젠(Seagen)의 대규모 기업합병 작업이 순항하고 있다. 지난 3월 공식화된 화이자와 씨젠의 합병은 430억 달러(약 56조원) 규모로, 올해 글로벌 제약바이오 인수합병(M&A) 거래 가운데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 최근 화이자와 씨젠은 기업 합병 서류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암젠, 50만명 대상 알렌드로네이트 비교 리얼월드 결과 발표

골다공증 표적약 ‘프롤리아’, 폐경 여성 골절 위험 크게 줄였다

골다공증 주사제 '프롤리아(성분명 데노수맙)'가 폐경 후 여성 환자에서도 획기적인 치료 효과를 보고했다. 해당 골다공증 환자 50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최신 대규모 리얼월드 연구 결과, 기존 경구용 알렌드로네이트 치료제 대비 고관절 및 비척추 등 주요 부위의 골절 위험을 더 크게 감소시킨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혜택은 치료 기간이 길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