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선 냄새가 수상해… 의심 부추기는 냄새는?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생선냄새를 감지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뜨거운 사람이나 깨끗한 사람이란 표현은 비유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런 표현은 실질적인 행동과 태도에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마치 따뜻한 커피 잔을 들면 몸이 따뜻해지고 태도도 온화해질 수 있듯이 말이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심리학자 스파이크 리 박사는 비유적 표현이 추상적 감정 실질적 행동 둘 다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했다. 영어권에서는 ‘수상한’ ‘생선냄새가 나는’이란 표현에 ‘피쉬(fishy)’가 쓰인다. 한국에서는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냄새가 난다’고 말한다. 만일 생선냄새가 나면 사람의 의심이 실제로 커질까.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리 박사 연구팀은 미국 미시간대 학생들을 두 명씩 짝을 지어 진실게임을 하도록 했다. 학생 둘 중 한명은 연구팀이 고용한 연기자다. 학생들의 반응을 살피기 위한 실험이다.

 

실험 공간에 맹물, 생선 기름, 방귀 냄새가 분사됐다. 연구팀이 각 냄새를 분사할 때마다 학생들은 상대방의 진실성 여부에 배팅을 걸었다. 그 결과 학생들은 생선 기름을 분사했을 때 가장 적은 돈을 걸었다. 연구팀은 방귀 냄새가 날 때 생선 냄새를 맡았을 때보다 더 많은 돈을 걸었다는 점에서 나쁜 냄새가 불신을 증폭시킨 것은 아닐 것으로 보았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의심스러운 상황이 주어졌을 때 후각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실험도 진행됐다. 연구팀은 사과, 다진 양파, 캐러멜, 오렌지즙, 생선기름을 넣은 통을 준비하고 각각의 냄새를 맡도록 했다.

 

또 실험 참가자의 절반에게 의심스런 글을 읽도록 했다. 그리고 각각의 통에서 어떤 냄새가 나는지 적도록 했다. 그 결과 생선기름을 제외한 나머지 냄새는 글을 읽지 않은 학생들이 보다 잘 분별해낸 반면 생선기름 냄새는 글을 읽은 학생들이 훨씬 더 잘 분별해냈다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생선냄새를 감지하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모든 나라에서 ‘생선 냄새가 난다‘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국가에서 이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며 음식이나 냄새와 연관된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는 점에서 이 같은 연구가 의미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연구는 ‘성격·사회심리학저널(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게재됐다.

 

    정희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