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망원인 4위 ‘뇌졸중’… “치료 못 받고 병원 옮기기 일쑤”

뇌졸중 환자 20%, 처음 방문한 병원서 치료 못 받고 전원

뇌졸중 뇌출혈 뇌경색
뇌졸중은 크게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 막히는 뇌경색 두 가지로 나뉜다. [사진= Pikovit44/게티이미지뱅크]
뇌졸중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 4위다. 이처럼 사망자 발생이 많은 이유는 센터 지역 불균형과 인력·자원 부족에 있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매년 뇌졸중 환자가 늘고 있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만큼 환자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대한뇌졸중학회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대 신경과)는 1일 학회 기자간담회에서 “뇌졸중환자의 78% 이상이 60세 이상”이라며 “고령사회에 진입한 대한민국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뇌졸중은 뇌혈류 장애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급성질환이다. 치료가 늦어지면 후유장애가 발생하거나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는 만큼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처음 방문한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못 받는 환자들이 많다. 2016~2018년 발생한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20%는 첫번째로 방문한 병원에서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전원했다. 제주도에서는 9.6%가 전원했고 전라남도에서는 44.6%가 병원을 옮겨 지역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전문의료 인력과 센터의 ‘지역 불균형’으로 제때 치료를 못 받는 환자들이 많다는 것. 강지훈 병원전단계위원장(서울대 신경과)은 “지역응급의료센터는 22년 5월 기준 215개지만, 표준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는 67개뿐”이라고 말했다.

뇌졸중센터는 서울·경기·부산 등에 밀집해 있다. 차재관 질향상위원장(동아대 신경과)은 “전남·전북·경북·강원 등 고령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 지역은 뇌졸중센터를 확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7년에는 뇌졸중 집중치료실에 대한 수가가 신설됐다. 하지만 저수가 문제로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다. 신경과 전문의 인력도 부족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8년 자료에 의하면 전국 163개 응급의료센터 중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곳은 113개뿐이다.

학회는 뇌졸중 환자들이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환자 이송 시스템을 강화하고 ▲응급의료센터 분포만큼 뇌혈관질환센터를 구축해야 하며 ▲뇌졸중센터를 지속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