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U 슈미트의학대학원의 찰스 헤네켄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의 ‘역학 연구를 위한 광범위한 온라인 데이터(WONDER)’에 등록된 1999년과 2019년 25세~85세 연령에서 알코올성 간경화 사망자 수를 비교했다. 1999년에는 해당 연령의 1억8040만여명 중 6007명이 사망해 10만 명당 3.3명을 기록했다. 20년 뒤인 2019년에는 2억2498만여명 중 2만3780명이 숨져 10만 명당 11명으로 증가했다.
2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알코올성 간경화로 인한 사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25~34세에서 7배가 증가해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고, 65~74세에선 가장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연구 책임자인 헤네켄스 교수는 “1자적으로는 사람들이 더 일찍 술을 마시기 시작하고 더 많이 마시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라고 봐야한다”고 말했다. 알코올성 간경변은 미국 내 모든 간 이식 수술의 3분의 1을 차지해 C형간염으로 인한 이식수술보다도 많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그러나 헤네켄스 교수는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비만이 증가한 것도 주요한 원인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더 많이 먹고 운동을 덜 하면 술을 마실 떄와 마찬가지로 지방간이 형성돼 간경화로 발전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비만과 운동부족은 심장병, 뇌졸중, 암 뿐만 아니라 당뇨병의 확산의 근원이기도 하다.
헤네켄스는 사람들이 마시는 술의 양을 남자는 하루에 두 잔 이하, 여자는 한 잔 이하로 제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하루 1~2잔의 술을 마시는 사람이 비음주자보다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낮다는 데이터가 있긴 하지만 그 이상의 술을 마시게 되면 조기사망의 위험은 크게 높아진다”고 밝혔다. 의사들은 알코올 섭취가 많은 사람이 간경화와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다는 점을 널리 주지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당 논문은 다음 링크(https://www.amjmed.com/article/S0002-9343(22)00400-4/fulltext)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