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여성, ‘피임약’ 피해야 하는 경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피임 방법은 다양하다. 먹는 경구 피임약, 자궁 내 장치, 피하 이식제, 황체 호르몬 주사제, 콘돔, 난관결찰술, 정관 절제술, 응급 피임 등이 있다. 피임약은 1960년 미국 식품의약국( FDA)이 처음으로 경구 피임제를 허가하면서 일상화됐다. 여성 스스로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질병관리청의 자료를 토대로  경구(입을 거침)  피임제에 대해 알아보자.

◆ 복합 경구 피임제?

복합 경구 피임제는 여성 호르몬과 황체 호르몬이 합쳐져 있는(복합), 입으로 먹는(경구) 피임제라는 뜻이다. 현재 판매되는 복합 경구 피임제는 2세대부터 4세대까지 다양하다. 각 세대에 따라 남성호르몬 억제 효과가 다를 수 있지만, 피임 효과의 차이는 크지 않다. 따라서 본인에게 잘 맞는 약제를 투여하면 된다.

여성은 배란과 월경 전후 여성 호르몬과 황체 호르몬이 분비된다. 복합 경구 피임제는 이 호르몬을 포함하고 있어 난자가 배란되는 과정을 억제한다. 자궁 내부의 막(내막)에 배아가 착상하기 어렵게 만들고, 자궁 입구 점액에 영향을 미쳐 정자가 통과하기 어렵게 한다. 난관에 영향을 줘 임신이 힘들게 한다.

◆ 피임약의 단점… 혈전증이 증가하는 경우

복합 경구 피임제를 복용하는 여성 가운데 비만이거나 하루 10개 피 이상 담배를 피우는 경우, 35세 이상의 흡연자에서 혈전증이 증가할 수 있다. 심장이나 혈관에 혈액이 응고된 덩어리가 생기는 것이다. 일반 여성에서 혈전증이 증가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그러나 위험이 있다고 해도 임신 여성에서의 혈전증과 비슷한 정도다.

◆ 피임약을 사용하면 안 되는 경우

질병관리청은 복합 경구 피임제의 ‘금기증’을 제시하고 있다. 어떤 약이나 치료법이 나쁜 영향이 있는 경우에 그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젊은 여성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피임제를 사용하면 안 된다.

1) 혈관 질환, 뇌졸중(뇌경색·뇌출혈), 심장 질환(협심증·심근경색), 혈전증이 있거나 과거에 있었던 경우 2) 간 기능에 심각한 장애가 있는 경우 3) 유방암, 자궁 내막암을 비롯한 여성호르몬 관련 종양이 있는 경우 4) 진단되지 않은 질 출혈

5) 임신 중이거나 임신이 의심되는 경우 6) 35세 이상의 흡연자 7) 전조 증상이 있는 편두통 8)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이 있거나 혈관 합병증을 동반한 당뇨가 있는 경우 9) 출산 후 3주 이내 10) 수술 후 오랫동안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11) 심각한 고지혈증 또는 고중성 지방 혈증이 있는 경우

◆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피임제 복약 지도 매뉴얼에 따르면 복합 경구 피임제의 부작용이 지속되거나 부작용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불편한 경우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또 복통,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심한 두통, 시야 장애, 심한 다리 통증 등이 발생하거나 혈전증,  금기증에 해당하는 질환이 새로 발생한 경우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 자궁내막암, 난소암, 대장암 위험, 여드름 감소 효과

먹는 피임약은 피임 이외의 건강상 이점들이 있다.  모두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이다. 자궁내막암, 난소암, 대장암의 발생이 감소한다는 보고가 있다. 여드름 감소효과도 있는데, 이는 특정 황체호르몬이 들어 있어야 한다. 본인의 건강상태 등을 고려해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 후 약제를 선택하면 된다.

피임에 의한 합병증보다는 원치 않은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합병증이 훨씬 치명적이고 발생빈도도 높다. 먹는 피임약 외에 자궁 내 장치, 콘돔 등 여러 피임법을 선택할 수 있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