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을 지켜라…여성 생식기 종양 치료하려면?

[사진=aslysun/shutterstock]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들이 있다. 자궁에 생기는 양성종양인 자궁근종과 악성종양인 자궁암이 특히 여성 질환의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자궁근종은 여성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종양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자궁근종 환자는 2009년 23만 5754명에서 2018년 40만 41명으로, 연평균 6%씩 증가했다.

대부분 가임 연령에 발생해 임신 중 커지고 폐경 이후 작아지는 특징이 있는데, 크기는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작은 크기부터 육안으로도 보이는 커다란 거대 종양까지 다양하다.

문제는 증상이 잘 안 나타난다는 점이다. 대체로 초음파 검사 시 우연히 발견된다. 주요 증상은 월경과다로 인한 빈혈, 생리통, 골반통, 하복통 등의 통증과 자궁 이물감, 이상출혈 등이 있는데 20~25%의 환자에게만 발현된다. 자궁이 방광을 눌러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 요실금 등 배뇨장애가 생기기도 한다.

자궁근종에 대한 근본적 치료법은 수술로 병변을 제거하는 것이다. 수술적 치료는 자궁근종절제술과 자궁적출술이 있다. 자궁근종절제술은 자궁을 보존하고 생식능력을 유지하려는 환자들이 주로 시술한다. 단 수술 후 자궁벽이 약해져 임신 시 제왕절개수술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근종이 다시 생길 위험이 있다. 반면 자궁절제술은 임신을 원치 않거나 근종이 다발성일 때 시행한다. 특이한 사항이 없는 한 난소는 남겨둔다. 두 가지 수술 모두 근종의 위치나 크기, 환자의 상태나 증상에 따라 개복, 복강경, 로봇 수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산부인과 기경도 교수는 “자궁근종은 매우 흔한 질환이기에 증상이 없으면 추적 관찰만으로도 괜찮지만 근종이 갑자기 커지거나 통증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육종성 변화(악성종양으로의 변화)나 2차 변성이 의심돼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며 “약물적 치료인 호르몬 요법은 근종 크기를 줄일 뿐 완치시키지는 않는다. 호르몬 요법은 수술을 쉽게 하고 수술 전후 출혈을 줄일 목적으로 실시한다”고 말했다. 가임기 여성은 1년에 한 번 산부인과 진료를 통해 자궁 상태를 미리 파악하고 관리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자궁에 생기는 악성종양은 자궁경부암과 자궁내막암이 대표적이다. 조기 진단이 늘면서 암 전체 생존율은 올라갔지만, 이미 진행된 암의 치료 성적이 과거보다 좋아지지는 않았다. 또 과거에는 기혼 여성에게 주로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출산 경험이 없거나 결혼하지 않은 20~30대 여성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자궁경부암은 전암 단계인 자궁경부이형성증과 상피내암을 거쳐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된다. 초기에 발견하면 자궁경부만 절제해도 되지만, 1기 중간이 되면 자궁을 적출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2기 말이 되면 재발률이 20~30%에 이른다. 기경도 교수는 “자궁경부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며 “만 20세 이상 여성은 2년 간격으로 자궁경부세포검사를 실시하는 국가암검진사업을 이용하고, 자궁경부암 백신은 예방률이 70~80%에 달하니 접종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자궁내막암은 식생활의 서구화로 비만 여성이 늘면서 최근 증가한 부인암이다. 몸에 쌓인 지방에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분비되는데, 과도한 에스트로겐 분비는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높인다. 전암 단계인 자궁내막증식증일 때는 수술 없이 호르몬 치료를 통해 자궁내막암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자궁내막암이 되면 자궁을 적출하는 수술을 해야 한다. 자궁내막암은 1년에 한 번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의 부인암은 첫 증상이 비정상적인 하혈이므로, 생리 기간이 아닐 때 하혈을 했다면 산부인과 검진을 받도록 한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