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증가할수록, 심혈관질환 사망률 떨어져 (연구)

[사진=SofiaV/shutterstock]
고소득까진 아니더라도 가계 수입이 늘면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성지동 교수팀(가정의학과 송윤미, 순환기내과 홍경표 교수)은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를 토대로 17만 8812명의 수입, 건강검진이력, 사인 등을 비교했다.

연구팀은 연구가 시작된 2002년 당시 소득을 기준으로 실험참가자들을 상·중·하위 소득층으로 분류했다. 상위와 하위 각각 30%, 중위 40% 등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선별된 사람들은 전원 정기적인 건강검진 이력이 있었고 허혈성 심장 질환, 뇌졸중, 심부전, 암 병력은 없었다.

10년간의 추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실험참가자의 4.1%가 이 기간 사망했고, 그 중 0.9%는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했다. 상위 소득층 사망자만 따로 분류했을 땐 사망자가 3.6%,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한 비율은 0.7%였다. 하위 소득층 사망률은 5.5%, 사망률은 1.2%로 세 그룹 중 가장 높았다.

상위 소득층은 수입 변동이 일어나도 사망률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수입의 오르내림이 있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1%로 가장 낮았고, 수입이 감소한 사람들은 사망률이 4%로 다소 높은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중위 소득층부터는 수입 변동에 따라 사망률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수입에 변화가 없거나 감소한 사람들은 수입이 상승했거나 오르내림을 경험한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4배 이상 높은 8~9%를 보인 것. 이는 수입이 감소한 상위 소득층 사망률보다도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하위 소득층 중에는 수입 변동이 없던 사람들이 13%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이는 수입이 감소한 상위 소득층보다 무려 3배 이상 높은 사망률 수치다.

소득 분위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지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하위 소득층은 흡연, 운동 부족,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에 고지혈증 등의 질환에 대한 적절한 예방 조치나 치료를 받지 못한 것이 심혈관질환 사망률을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성지동 교수는 “소득 수준에 따라 확연하게 심혈관질환 사망률에 차이를 보였다”며 “소득 불평등이 실제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소득이 증가하면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며 “소득 양극화를 완화시키는 복지 정책은 복지 자체로서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은 국제학술지 ‘유럽 예방 심장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6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