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초기 사망원인 1위 ‘자궁외 임신’, 1000명당 17명꼴

[사진=u3d/shutterstock]
산부인과 응급질환인 자궁외 임신 발생률이 1000명당 17.3명꼴로 나타나고 있다.

을지병원 산부인과 육진성 교수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바탕으로 총 447만649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분만, 유산 또는 자궁외임신) 기록이 있는 36만9701명을 분석했다.

전체 임신 중 자궁외 임신은 총 8556건으로 임신 1000건당 약 17.3건이었다. 자궁외 임신이 발생한 신체 부위는 난관 또는 난소에 임신한 경우(91.5%)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자궁외 임신이 나타난 여성의 평균연령은 31.1세였다. 연령대별로 살펴봤을 때 나이가 증가할수록 자궁외 임신의 발생률도 증가했다. 나이가 들면서 나팔관의 구조와 기능이 떨어지고, 골반염 등으로 나팔관이 손상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에서 눈에 띄는 점은 15~24세 사이의 젊은 여성이 25~39세 사이의 여성보다 자궁외 임신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의학적인 원인보다는 사회적인 이유로 분석했다. 결혼 적령기로 불리는 25~39세 사이의 여성이 15~24세 사이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인공 유산을 적게 하기 때문이라는 추측이다.

자궁외 임신은 산부인과에서 가장 흔하게 보는 응급질환으로 임신과 관련된 사망 원인의 7%를 차지한다. 정상적인 수정은 난관에서 일어나, 수정란이 난관을 지나 3~4일 후에 자궁으로 도달하게 된다. 과거 골반염 등으로 난관이 손상된 상태에서는 수정란이 자궁으로 이동할 수가 없어서 난관에 착상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수정란이 자궁 바깥에 있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없는 자궁외 임신을 하게 되면 복강 내 과다출혈을 유발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산부인과 육진성 교수는 “7년간 자궁외 임신의 발생률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은 인공 유산의 비율이 변화가 없다는 말”이라며 “최근 수년간 일부에서 ‘낙태 반대 운동’이 있었지만,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연희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