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난데… 사람들 왜 흔히 ‘대세’를 따를까

 

다수와 대립하면 비상벨 울려

사람들은 소위 ‘대세’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 음식을 시킬 때에도 다른 사람이 많이 택하는 음식을 고르고 다른 사람이 주식을 팔 때 홀로 사자에 나서기 힘들고 사람들이 다 찬성할 때 홀로 반대하기 힘든 이유다.

네덜란드의 F.C. 돈데르스인지뇌영상센터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여러 얼굴 사진을 보여주면서 공개리에 누가 매력적인지를 평가하도록 했다. 이렇게 다수의 의견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을 만들었다.

이렇게 한 뒤 연구팀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Functional MRI)으로 참가자들의 뇌 활동을 관찰했다. 그 결과, 다수와 의견이 다른 사람의 경우 뇌 부위의 두 곳의 반응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의 결과를 감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부위와, 사회적 학습은 물론 보상을 예상하고 처리하는 뇌 부위였다. 다수 의견과 차이가 클수록 신경 반응의 폭도 컸다.

연구팀은 이런 신경 반응은 뇌의 오류를 경고하는 의미라고 풀이했다. 다수와 달랐을 때 대개 틀리는 경우가 많다고 학습돼 경보가 발동된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자동 반응은 기대한 결과와 나타난 결과의 차이를 인식하고, 자신의 견해나 행동을 장기간에 걸쳐 조절하도록 하는 원인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의 바실리 클루차체프 박사는 “이는 다수를 따르는 인간 본성은 학습 능력을 높이고, 오류를 감시하는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뇌가 ‘다수와 너무 다르면 실수’라고 가르친다”고 덧붙였다. 이런 내용은 과학 및 의학 전문 사이트 유러칼레트에 실렸다.

    권순일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