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껌만 잘 씹어도 살빠진다”…조심해야 할 사람은?
포만감 유지하고 입 냄새 방지 효과 있지만 턱 관절 약하다면 피해야
국내 껌 시장 점유율 80%가량을 차지하는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에 따르면 주요 껌 브랜드 상반기 매출액은 각각 20~60% 증가했다. 껌 매출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300억 원을 기록했다가 팬데믹 기간 3년 연속 하락해 지난해에는 900억 원으로 내려앉았다. 그러나 올해 1~9월 860억 원으로 전년 동기(660억원) 대비 30.3% 올라 다시 1000억 원대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껌 매출 상승을 이끈 배경에 대해 업계는 마스크 의무화 해제를 꼽았다. 마스크를 쓴 채로 껌을 씹기 불편하기도 하고, 마스크를 쓰면 타인에게 구취 전달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어 소비자들이 껌을 찾지 않다가 더 이상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니 구취 예방 등의 목적을 위해 껌 소비가 다시 늘었다는 것. 이렇듯 다시금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는 껌, 건강에는 어떤 효과를 지닐까?
다이어트·치아 건강·집중력 강화 등에 도움
껌은 초산비닐수지, 유화제, 탄산칼슘 등을 혼합해 만든 껌 기초제에 설탕, 포도당, 물엿, 향료 등을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제조 과정이다. 부피가 줄지 않아 오래 씹을 수 있고 이때 뇌의 식욕을 관장하는 부위에 신호가 전달돼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식사 전후 껌을 씹으면 음식을 덜 먹게 되고 에너지를 더 소비할 수 있다.
껌은 치아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대한치과의사협회에 따르면 껌을 10분 이상 씹으면 치아에 붙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닦여 나가 충치나 치은염 예방에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껌을 씹으면 침 분비가 늘어나 구강 건조증과 입 냄새를 방지하기도 한다. 물론 치아 건강을 생각한다면 무설탕 껌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20분 이내로 씹으면 사각턱 걱정 없어
한편, 껌을 많이 씹으면 사각턱이 될까봐 피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껌을 오래 씹으면 교근이 두꺼워져 외관상 사각턱이 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껌 씹는 시간이 20분을 넘지 않는다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한쪽으로만 껌을 오래 씹으면 안면비대칭이 일어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하고 평소 턱관절이 약하다면 가급적 껌을 씹지 않는 것이 좋다.
껌을 씹어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이 꽤나 많은데 길게 씹으면 턱 관절에 안 좋기 때문에 적절하게 조절해야죠. 저는 껌이나 젤리류를 먹지 않는데 긍정적인 면을 활용해서 한 번씩 씹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껌 매일같이 씹는데 정말 치아건강에 도움이 되는것같아 기분이 상쾌 합니다.
이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