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취’ 알레르기 1000만 시대…면역치료 필요한 경우는?
봄·가을 환절기 알레르기 환자 급증
알레르기 치료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인물질, 즉 항원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보통 혈액검사와 피부반응검사를 통해 알 수 있다.
면역치료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을 몸에 투여해 반복적으로 노출함으로써 면역관용(면역 물질에 생체가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 일)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알레르기의 원인인 항원을 소량부터 조금씩 증량 주입해 내 몸이 천천히 항원에 둔감해져 호전을 가져오는 치료법이다. 백신과 비슷한 원리라고 할 수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안진 교수는 “눈, 코뿐만 아니라 전신 증상이 심하거나 기관지 증상까지 있는 경우 꼭 면역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며 “주로 증상이 심하거나 사회활동이 많은 젊은 환자 또는 약물 치료가 힘든 환자에게 권한다”고 전했다. 면역치료는 몸의 면역 체계가 하루아침에 바뀌지는 않기에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보통 3년~5년 정도가 걸린다.
면역치료는 팔에 주사 맞는 피하 면역치료와 혀 밑에 약물을 투여하는 설하 면역치료로 구분된다. 설하 면역치료는 주로 집먼지진드기가 원인인 통년성 알레르기 환자에게 사용한다. 계절성 알레르기일 때는 보통 피하 면역치료를 하게 된다. 피하면역치료는 한 달에 한 번 병원에서, 혀 밑에 약을 녹여 먹는 설하면역치료는 매일 집에서 직접 투여한다. 면역치료는 치료 기간이 다소 길지만, 치료 후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자료에 따르면 2021년에 알레르기 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총 1304만1855명에 이르렀다. 이 중 4월에 243만7,071명, 9월에 258만555명으로 가장 많았다.
안 교수는 “최근 봄·가을 꽃가루에 더해 대기오염의 악화 등으로 알레르기 환자가 더 많아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봄·가을 환절기에 알레르기 환자가 느는 이유는 대부분 꽃가루 때문이다. 봄철에는 △자작나무 △오리나무 △참나무 요즘 같은 가을철에는 잡초 화분 특히 △돼지풀 △쑥 △환삼덩굴이 주원인이 된다. 이에 더해 꽃가루 성분에 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물질 더해져 알레르기를 잘 일으키는 물질로 변해 알레르기 반응을 훨씬 잘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알레르기 질환의 주요 증상은 눈이 가렵거나, 붓고 충혈되는 결막염, 코 증상으로△콧물 △재채기 △코막힘 등의 비염 증상이 생긴다. 심하면 전신에 △열감 △피로감 △전신 통증 △감기 △몸살 등 증상도 동반한다. 이는 건초열이라고도 부른다. 기관지 증상으로는 △기침 △가래 △가슴 답답함, 심하면 천명음(쌕쌕거림), 호흡곤란까지 보일 수 있다. 밤이나 새벽에 심해지며 찬 공기, 건조한 공기, 담배, 운동 등에 의해 악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