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예방 위해 술 한 잔도 안 되는데…여성 음주는?
코로나 이후 ‘홈술’, ‘혼술’ 열풍... 독주 판매 급증세
지난해 술 때문에… 여성 사망자 61% 급증
통계청의 ‘2022년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작년 알코올 관련 사망자는 5033명으로 2021년(4928명)보다 105명 증가했다. 알코올 관련 사망률(인구 10만명 당 사망자 수)도 9.8명으로 1년 전보다 2.3% 늘었다. 이는 알코올성 간 질환 등 음주로 인한 사망 원인을 모두 모은 것이다. 특히 여성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다. 작년 알코올 관련 여성 사망자는 761명으로 2012년(474명)보다 61% 급증, 5% 늘어난 남성 사망자(4075명→4272명)보다 증가세가 컸다.
‘혼술’ 유행에… 독주 바람 거세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술 시장에선 위스키 등 독주 열풍이 불고 있다. 관세청 무역 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스카치·버번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40% 증가했다. 코로나 이후 ‘홈술’과 ‘혼술’이 늘면서 위스키 소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독주를 자주 마시면 건강 악화를 불러올 수 있다. 간 질환은 물론 최근 늘고 있는 유방암, 식도암 등은 음주의 영향이 크다.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도가 낮은데도 음주 인구는 오히려 늘고 있다.
‘적당한’ 음주?… 암 예방 위해 술 ‘한 잔’도 안 된다
세계 각국의 암 관련 기구는 술 한 잔도 마시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다. ‘유럽 암 예방 수칙’에는 암에 관한 한 ‘안전한 양’(no safe limit)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 ‘국민 암 예방 수칙’에도 암 예방을 위해서 하루 한 두 잔의 술도 마시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 소량 음주로도 구강암, 식도암, 간암, 유방암, 대장암 발생이 높아진다는 수많은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권고안을 마련한 것이다.
술 강권하는 문화 줄고 있지만… 꾸준한 ‘혼술’ 위험
사람마다 술에 덜 취하는 알코올 분해 속도가 다르다. 술 한 잔에도 얼굴이 벌겋게 되는 사람에게 술을 권하는 것은 위험하다. 이제 회식에서 술을 강권하는 문화는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여전한 곳도 적지 않다. 특히 집에서 매일 혼자서 술을 마시는 것은 건강에 더 나쁘다. 3일 정도는 간이 쉴 시간을 줘야 한다. 술은 치매(알코올성) 위험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자. 술은 열량이 높아 살도 찔 수 있다.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을 위해서는 술을 아예 안 마시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