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뻐근할 때 ‘우두둑‘…잘못하면 부러진다
젊은이들도 목뼈 부러지거나 전신마비 등 위험
지난 11일 뉴욕포스트는 틱톡의 한 동영상과 함께 목을 꺾는 행위의 위험성에 대해 보도했다. 영상 속에서 미국의 내과의사인 에버 아리아스 박사는 20살 여성 사례를 소개하며 목을 절대 꺾으면 안 된다고 설명한다. 해당 영상은 23만5000회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했다.
목을 무리하게 꺾어 목 주변 근육, 관절을 과하게 사용하면 골절 뿐만 아니라 동맥 파열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 지난 3월 호주의 한 50대 남성은 만성적인 허리 통증을 겪다가 스스로 척추를 지압하는 스트레칭을 하다가 목뼈에 금이 간 뒤 뇌졸중이 나타났다. 작년 미국에선 20대 여성이 목 교정 치료를 받다가 목 부위의 동맥이 터져 전신마비를 진단받기도 했다.
박사는 “척추를 잘못 지압하면 목 부근에 있는 동맥이 터질 수 있다”며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이용해서 목을 무리하게 꺾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목은 33개의 척추뼈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한 7개의 뼈로 구성돼 있다. 흔히 경추(목뼈)라고 하는 이 뼈는 고개를 돌리거나 흔들고, 끄덕거리는 등의 운동을 맡는다. 때문에 소리가 날 정도로 목을 돌리는 등 잘못 압력을 가하지 않아야 하며, 평소 만성적인 목 통증이 있으면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척추 뒷쪽에서 목뼈를 지지하는 후종인대가 커지고 단단해지는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는 목을 꺾거나 마사지를 잘못 받으면 증상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다. 갑작스러운 힘이 후종인대에 전달되면 이가 신경을 압박해 손상시킬 수 있어서다. 때문에 목이 자주 아프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은 뒤 치료를 하는 것이 현명하다.
강서나누리병원 척추센터 주윤석 병원장은 “한 번 손상된 신경은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완전히 낫지 않을 수도 있어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며 “특히 후종인대 골화증일 경우 후종인대가 1년에 약 1~2mm씩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병의 진행속도가 더뎌 자신이 후종인대 골화증을 앓고 있는지도 모르는 환자들이 많다”고 말했다.
목 뻐근함, 거북목 등을 막으려면 일상에서 한 자세를 오랜 시간 유지하면서 독서, 컴퓨터 등을 하지 않아야 한다. 독서 시 책은 눈높이에 두거나 책받침대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자세는 30분~1시간마다 바꿀 것이 권장된다. 잠을 잘 때는 너무 높은 베개보단 6~8cm 정도의 높이가 목 건강에 좋다. 검증되지 않은 목, 척추 마사지를 따라하거나 비의료인에게 함부로 받아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