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코 안챙겼단 큰일…노년층 여름철 ‘이것’ 주의
일반적으로 탈수는 마시는 액체보다 더 많은 수분을 소실할 때 발생한다. 뜨거운 햇볕이 내리쬐면 우리 몸은 열을 식히기 위해 땀을 배출한다. 이때 물을 보충하지 않으면 탈수로 이어질 수 있다. 심한 땀을 흘리는 것뿐만 아니라 이뇨제 사용, 구토, 설사 등도 이를 유발한다.
세란병원 내과 최혁수 과장은 “탈수는 구토 및 설사를 동반한 위장염, 높은 기온 탓에 지나치게 나는 땀, 혈당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는 당뇨병 등 원인으로 생길 수 있다”면서 “혼자 사는 노인들은 특히 물을 충분히 마시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탈수를 겪을 위험이 높다”고 설명했다.
탈수가 발생하면 땀 흘림과 소변 배설이 감소하면서 피부 탄력이 떨어질 수 있다. 안구 점막 건조, 피로감 등 증상도 동반된다. 뇌의 갈증중추를 자극해 더 많은 액체를 마시도록 갈증이 심해지기도 한다. 갈증중추는 자율신경을 조절하며 갈증과 수분 섭취에 관여한다.
중증 탈수로 이어지면 갈증에 대한 감각이 사라지고 혈압이 떨어진다. 앉았다 일어설 때 몽롱함을 느끼거나 실신할 수도 있다. 탈수 증상이 계속 심할 경우 신장, 간, 뇌 등이 망가지거나 혼수상태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탈수는 치료보다 예방이 더 바람직하다. 더운 날씨에 일이나 운동을 하거나 구토 및 설사 증상이 있다면 수분 섭취를 늘려야 한다. 운동 전후 스포츠 음료를 마시는 것도 탈수 예방에 효과적이다. 운동으로 빠진 전해질을 보충할 수 있어서다.
탈수 증상이 약하고 위장관에 문제가 없다면 물을 마시는 것으로 호전이 가능하다. 단, 구토나 설사, 메스꺼음 등을 동반한 중증 탈수일 경우 손실된 전해질 보충이 필요하다. 이 경우 나트륨과 기타 전해질 혈중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최 과장은 “고령 가족 구성원이 더운 건물이나 장소에 홀로 있을 때 충분한 양의 물을 마시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