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똑같은 디스크 아니다? 증상에 따른 허리 통증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 증상이나 원인 달라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을 유발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발병 원인과 증상은 다르다. 추간판은 척추뼈 사이에 위치해 뼈끼리 충돌하는 것을 막는 ‘디스크(disc)’의 우리말이다. 추간판 내부에는 ‘수핵’이라고 하는 젤리처럼 찐득찐득한 물질이 있다.
기존에는 주로 절개 척추 수술을 적용했다. 안전하고 확실하게 증상을 호전시킨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술 시간이 길고 절개 부위가 크게 남는다. 근육과 뼈 등 주변 조직의 손상이 커 수술 후 통증이 심하고 회복 기간도 길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최근에는 내시경 수술을 포함한 ‘최소 침습 척추 수술’을 활발히 시행하고 있다. 절개 수술보다 주변 조직 손상과 상처가 적어 수술 후 빠른 일상 복귀가 가능하다. 수술에 따른 합병증의 위험도 훨씬 적다.
노원을지대병원 신경외과 배인석 교수는 “모든 척추 질환이 내시경 수술로 치료가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통증이 심한데도 수술을 두려워하는 고령자의 경우 내시경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며 “국소 또는 수면마취만으로도 가능해 전신마취가 부담스러운 만성질환 환자들에게도 (이같은 수술법은) 희망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