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환자는 ‘뇌 주름’ 적다?…MRI 비교해보니

전두엽 뇌 주름 감소, 정서 조절 기능 이상 초래

전두엽 등 뇌 영역이 망가지거나 주름이 적으면 우울증에 걸릴 위험성이 높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전두엽 등 뇌 영역이 망가지거나 주름이 적으면 우울증에 걸릴 위험성이 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규만 교수(공동교신저자), 함병주 교수(공동교신저자), 강유빈 연구교수(제1저자) 연구팀은 우울증 환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정서 조절을 담당하는 뇌 영역의 주름이 유의하게 적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19~64세 성인 중 우울증 환자 234명과 정상 대조군 215명의 뇌 MRI 영상, 우울 증상 심각도 등 여러 임상 관련 데이터를 비교했다. 그 결과 우울증 환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정서 조절을 담당하는 뇌 영역인 전두엽, 안와전두피질, 전대상피질의 주름이 최대 약 5% 감소한 상태였다.

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두엽 부위의 주름 감소가 우울증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생물학적 토대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말했다.

뇌에서 정서 조절을 담당하는 영역은 부정적인 감정을 인식하고 처리한다. 전두엽은 대뇌 앞쪽에 있는 부분이며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감정뿐만 아니라 사고력, 기억력 등을 주관한다. 안와전두피질은 욕구 및 동기에 대한 정보를 처리해 사회적인 행동이 가능토록 조절한다. 전대상피질은 감정이나 보상 관련 정보 등을 처리한다.

이들 부위에 뇌 주름이 적으면 정서 조절 신경회로의 기능 이상을 초래해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뇌 주름은 대체로 태아시기부터 영아기 무렵의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시기가 지나면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전두엽, 안와전두피질, 전대상피질의 주름 정도는 개인이 타고난 우울증 발생 위험도를 측정하는 뇌영상 바이오마커로 활용할 수 있다.

한 교수는 “앞으로 대뇌 피질주름에 대한 정량화된 데이터를 통해 개별 환자들에게 우울증이나 정서 조절 이상의 취약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Decreased cortical gyrification in major depressive disorder’는 정신의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Psychological Medicine (Impact factor: 10.592)’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최지혜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