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분한 애도 필요해…’펫로스 증후군’이란?
우리나라의 반려동물 인구는 15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 4가구 중 1가구 이상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걸로 추정된다. 반려동물의 죽음과 상실로 정신적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도 많아졌다.
반려동물을 떠나보낸 이들은 길게는 6개월 이상 우울감을 느끼기도 한다.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우울감이 오래 간다면 만성화할 수 있어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심리 상담으로 회복이 어렵다면 항우울제나 항불안제 복용이 도움될 수 있다.
주변인들도 당사자의 슬픔에 공감하기 어렵더라도 가족은 잃은 슬픔과 비슷한 상실감으로 인정해주고 위로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한낱 동물일 뿐인데 왜 이렇게 슬퍼하냐’ ‘대신 다른 동물을 키워라’ 등 무분별한 조언은 피하는 것이 좋다. 반려동물을 잃은 슬픔을 공감하고 인정하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교수는 “반려동물을 잃으면 가족을 잃은 것과 같은 정신적 상실감을 느낀다”면서 “슬프고 힘든 감정을 억누르려고 하지 말고 충분히 아파하고 그리워하는 애도 기간을 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반려동물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자책감을 느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유골함 등 반려동물을 추억할 수 있는 물건을 집안에 두거나 반려동물을 잃은 슬픔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들과 함께 소통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