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가락 자를 수도” 당뇨발 수술 피하려면?

평소에 상처 예방해야… 주기적 혈관 검사 중요

15~25%의 환자에게 나타나는 당뇨발은 최악의 경우 발가락을 절제할 수 있어 평소에 상처를 조심해야 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당뇨병이 생기면 평생 혈당을 조절하고 관리해야 한다. 합병증의 위험도 큰데, 약 15~25%의 당뇨병 환자에게 나타나는 ‘당뇨발’이 대표적이다. 조기에 치료하지 못하면 최악의 경우 발의 일부분을 절단할 위험이 있다. 평소 발 상처 및 발 관리를 잘 하는 게 중요하다.

당뇨발의 정식 명칭은 ‘당뇨병성 족부 질환’이다. 당뇨병 환자의 고혈당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말초혈관과 신경이 상하는데 몸 끝에 있는 발에 그 영향이 먼저 나타난다. 작은 상처도 심한 궤양이나 괴사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거나 담배를 피우면 위험이 커진다.

이미 발에 상처가 생겨 치료를 했는데도 문제가 재발한다면 수술이 필요하다. 특히 △족부 첨족변형망치변형갈퀴변형이 일어났다면 최대한 빨리 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 발바닥에 압력이 분산되는 것을 방해하고 특정 부위에 부담을 줘 조금만 걸어도 상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자료=한림대의료원]
족부 첨족변형은 종아리 근육이 위축되고 아킬레스건이 짧아지는 증상이다. 발바닥 끝에 튀어나온 관절 주변이 압력을 받아 지속적으로 상처가 난다. 이 경우 ‘아킬레스건 힘줄연장술’로 아킬레스건의 길이를 늘려야 한다.

망치변형과 갈퀴변형은 발가락 관절이 뒤틀린 상태에서 굳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불편하거나 작은 신발을 신었을 때 나타난다. 변형된 발가락은 수술 없이 되돌리기는 힘들다. 힘줄과 관절을 성형하는 수술로 치료하며 의료진 판단에 따라 발바닥 근막의 일부를 제거해 발을 교정하기도 한다.

교정 수술만으로는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환자도 있다. 상처가 크고 깊으면 이미 염증이나 조직 괴사가 진행됐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말초혈관의 손상이 심한 경우도 교정술의 효과가 떨어진다. 이 때는 괴사한 조직을 도려내야 하는데, 심하면 발가락이나 발의 일부를 절제하기도 한다.

당뇨병 환자의 평소 생활습관을 바꾸면 당뇨발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발 상처가 잘 낫지 않는 증상을 경험한 적 있다면 집안에서도 두꺼운 양말과 푹신한 실내화를 착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발톱을 일자로 깎아 상처 위험을 줄이고, 화상이나 동상을 유발할 수 있는 냉·온찜질은 멀리해야 한다.

무엇보다 신발 크기를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끝에서 1~2cm 정도 여유가 있고 발폭의 가장 넓은 부분이 잘 맞는 신발을 신어야 한다. 너무 조이거나 헐렁하지 않아야 하며, 신었을 때 한 번이라도 상처나 물집이 났던 신발은 다시 신지 않는 것이 좋다.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성형외과 전동근 교수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말초혈관의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라며 “주기적인 혈관 검사를 통해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을 치료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자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