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 내 ‘소변’ 관찰? 새 기술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 소리 측정 알고리즘 개발

스마트폰으로 소변 보는 소리를 측정해 소변량을 검사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소변을 볼 때 나는 소리를 스마트폰으로 분석해 소변량을 검사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환자가 직접 소변량 변화를 느끼고 제때 진료받을 수 있게 됐다.

우리 몸은 소변으로 몸 안 수분과 염분의 비율을 조절한다. 매일 일정한 양의 소변으로 노폐물을 배출하는데, 갑자기 그 양이 달라졌다면 신장, 방광, 요도 등 비뇨기관에 문제가 생겼을 수 있다.

전립선비대증이나 신부전증(콩팥의 기능이 떨어지는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이 소변량 감소이며, 소변량이 늘었을 때도 방광이나 전립샘 이상을 의심해야 한다.

그러나 환자가 자신의 소변량을 항상 확인할 수는 없다. 계량 용기를 휴대하거나 고가의 소변 패턴 측정용 의료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환자의 느낌에 의존해왔는데, 진단과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쉬웠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했다. 배뇨 시 소변이 물 표면에 닿는 소리를 스마트폰으로 분석해 배뇨량을 측정한 것이다. 소변이 배출되는 강도는 배뇨압(시간당 요도를 통과하는 소변량으로 인한 압력)에 비례한다는 원리를 적용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배뇨 전 초음파 검사로 측정한 방광 내 소변량과 △연구팀이 개발한 소리 알고리즘으로 측정한 값 245개를 비교하였더니 평균 16cc의 오차가 있었다. 성인 남성의 배뇨량이 200cc 전후임을 고려하면 상당히 정확한 수준이다.

이번 연구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소리 기반 배뇨량 분석법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검증됐다. 그 동안에는 소리로 측정한 양이 얼마나 정확한지를 알 수 없었는데, 연구팀이 초음파 결과와 비교한다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소리 분석 알고리즘의 정확도만큼 중요한 성과다.

이상철 교수는 “환자가 사적인 공간에서 심리적 부담 없이 정확한 배뇨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됐다”며 “더욱 많은 표본으로 이 기술을 검증하고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세계 비뇨기과 저널(World Journal of Urology)»에 게재됐다.

    장자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