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단짝질환’ OOO… 최대 9.3배 위험!

중증 장애·젊은 남성일수록 더욱 위험

뇌졸중과 우울증이 ‘단짝질환’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뇌졸중 발병 이후의 사회적·신체적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처음 1년 동안 우울증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뇌졸중과 우울증이 ‘단짝질환’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뇌졸중 발병 이후의 사회적·신체적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처음 1년 동안 우울증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조기에 두 질환을 함께 관리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최혜림 임상강사,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 연구팀은 최근 뇌졸중으로 인한 우울증 발병 위험도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2018년 사이 뇌졸중을 겪은 20만 7678명의 환자의 국민건강보험 자료와 이들 집단에 맞춰 나이, 성별 등의 특성을 선별한 29만 4506명의 일반 대중을 비교 분석했다.

이 결과, 발병 첫 해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 위험도는 대조군 대비 5.02배까지 치솟았다. 특히 뇌졸중으로 인한 후유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위험도도 함께 높아져 중증 장애에선 9.29배까지 치솟았다.

나이와 성별에 따라서도 우울증 위험도가 달랐다. 여성(2.92배)보단 남성(3.78배) 뇌졸중 환자가 우울증에 시달릴 위험이 더 높았다.

환자의 나이가 젊을수록 우울증에 더 잘 노출했는데, 가장 극명하게 갈리는 시기는 65세 전후였다. 65세 이상의 뇌졸중 환자는 발병 1년 후 우울증 위험도 대조군 대비 2.62배 높은 반면, 65세 미만일 경우 2배에 가까운 5.39배로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와 같은 현상을 뇌졸중 발병 이후 겪게되는 몸의 변화와 위축된 사회활동 상황에 적응하는 과정으로 이해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젊은 남성일수록 사회활동이 더욱 활발하다는 점에서 뇌졸중 발병 이후 좌절감과 사회적 압박감을 더 크게 느끼기 때문이다.

논문의 교신 저자인 신동욱 교수는 “뇌졸중 환자가 사회적인 측면에서 활동이 많은 나잇대와 성별일 경우 뇌졸중 발병 이후 사회적, 경제적 압박감에서 오는 우울증에 더욱 노출할 수 있다”며 “이러한 특성의 환자들을 치료 과정에서 더욱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제안했다.

실제 전반적인 분석 추세도 이와 유사한 결론을 가리켰다. 뇌졸중 환자들의 우울증 위험도가 발병 후 1년까진 높아지다가 이후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뇌졸중 발병 이후 변화한 생리·사회적 상태에 적응해나간 탓이다. 이에 연구진은 뇌졸중 치료 시작 단계에서부터 환자의 정신건강을 함께 관리해 우울증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한편, 뇌졸중 이후 발생한 뇌의 변화 역시 우울증 발병 위험을 키웠을 것으로도 연구팀은 추정했다. 뇌졸중은 우울증 발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모노아민’의 분비를 감소시킨 한편, 흥분 독성을 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분비량은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뇌손상에 따라 감정과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뇌의 회색질이 감소하는 현상도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 위험이 높은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봤다.

제1저자인 최혜림 임상강사는 “뇌졸중 경험 후 1년 내 우울증 발생이 가장 높았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초기부터 우울증의 위험이 있는지 관심을 기울여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해당 연구는 국제 학술지 ‘환경연구와 공중보건(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최근호에 게재됐다.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