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장질환, 치료 부작용은?

약물방출풍선 치료로 부작용 최소화

심장의 통증을 호소하는 의사
약물방출풍선 치료는 기존의 금속 재질 스텐트를 삽입하는 관상동맥중재시술의 단점을 보완한 치료법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며 ‘심장’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장질환은 고령화와 비만, 대사성 만성질환 증가로 크게 늘어났다.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심장근육의 일부에 혈액 공급이 줄거나 중단돼 협심증, 심근경색 같은 관상동맥 질환이 주로 발생한다.

치료는 ▲약물치료 ▲관상동맥중재시술 ▲관상동맥우회로수술 등이 있다. 고려대안산병원 순환기내과 김선원 교수는 “스텐트를 삽입하는 중재시술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금속 재질의 이물질인 스텐트가 평생 혈관 내에 남는다는 것이 단점이다”면서 “항혈소판제를 평생 복용해야 하고 이에 따른 출혈 위험이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고 말했다.

중재시술은 우회로수술에 비해 소요시간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 때문에 관상동맥 질환 치료 수단으로 많이 활용된다. 전신 마취도 하지 않고 약 1~2시간 정도의 짧은 시술 시간과 수일 내 퇴원할 수 있다는 점도 환자들의 부담을 줄인다.

스텐트는 외부에서 삽입된 이물질로 혈액과 접촉하면 혈전이 발생, ‘스텐트 혈전증’을 유발한다. 중재시술 이후엔 혈전으로 인해 혈관이 다시 막히는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6개월~1년 동안 두 종류의 항혈소판제를 복용하고, 그 이후에도 한 종류의 항혈소판제를 평생 복용해야 한다.

최근 ‘시약물방출풍선(Drug-Coated Balloon, DCB)’을 이용한 관상동맥 확장성형술이 각광받고 있다. 좁아진 혈관 부위를 풍선확장술로 먼저 확장시키고 확장 반응이 좋으면 약물 풍선을 넣어 혈관 벽에 약물만 전달한다. 약물을 전달한 매개체인 풍선은 다시 몸 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몸 안에 남는 이물질이 없다. 약물방출풍선 시술 후 약 1~3개월 정도로 짧게 두 종류의 항혈소판제를 복용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항혈소판제 복용을 완전히 중단할 수 있어 출혈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게 특히 효과적이다.

약물방출풍선 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여러 차례의 확장성형 과정이 필요해 스텐트 삽입술 대비 시간과 노력이 더 든다. 풍선 종류와 사이즈, 확장 강도 조절까지 많은 경험과 노하우도 필요하다.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게 치료 장벽이다. 약물방출풍선은 스텐트 시술 후 재협착이 발생했거나 직경 2.5±0.25mm의 가는 관상동맥 혈관질환에 대해서만 보험급여가 적용된다.스텐트는 대부분의 병변에 급여 적용이 가능해 환자의 비용 부담이 낮은 편이다.

의료계에선 약물방출풍선 치료에 대한 임상 경험과 근거가 축적되고 급여 적용 범위가 확대되면 시행이 많아질 것이라 예측한다. 질환이 심각한 환자는 스텐트와 약물방출풍선 치료를 같이해 스텐트 삽입 개수를 줄이는 방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약물방출풍선 치료를 통해 혈관을 가능한 한 자연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지는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김혜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