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환자 65% 집에서 혈압 안 잰다
집에서 재면 '백의 고혈압', '가면 고혈압' 판별하는 데 유리
대한고혈압학회 소속 가정혈압포럼이 30일 30대 이상 고혈압 환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혈압 측정 인식조사 결과다. 가정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환자는 5년 전보다 늘었지만 아직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고혈압은 초기에 증상이 없어 방관하기 쉽지만, 시간이 지나면 심뇌혈관 질환 등 다양한 장기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초기부터 관리를 잘해야 한다. 학회는 “집에서 관리지침에 맞춰 혈압을 직접 측정하는 ‘가정혈압’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가정혈압에 대한 인식은 5년 전보다 개선됐다. 조사 참여자의 65.5%는 가정혈압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고 답해 2017년 60.6%보다 4.9%p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가정혈압에 대해 알게 된 루트는 가족 및 주변 지인이 41.4%, 의사 및 간호사가 35%였다.
가정에서 혈압을 재는 환자 중 82%는 집에서 측정하는 것이 고혈압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그 이유는 ▲혈압 변화를 살펴볼 수 있어서(81.4%) ▲혈압 조절 목표를 세우는 데 도움이 돼서(47.4%) ▲치료제 복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어서(37.5%) 등이었다.
집에서 혈압을 재지 않는 이유는 ▲가정용 혈압계가 없어서(47.8%) ▲병원 진료 시 측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해서(19.5%) ▲번거롭고 귀찮아서(13.8%) 등의 답변이 있었다.
집에서 혈압을 재면 고혈압 관리에 유용하고, 복약 순응도와 치료에 대한 적극성, 혈압 조절률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정혈압포럼 김철호 회장(분당서울대병원 노인의료센터)은 “집에서 혈압을 재면 혈압 모니터링을 할 수 있고 백의 고혈압(의사 앞에서 혈압이 상승하는 상태), 가면 고혈압(병원에서 재면 발견되지 않는 고혈압)을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고혈압 환자는 아침, 저녁으로 하루 두 번씩 가정에서 혈압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아침에는 식사 전, 약물 복용 전 측정하고 저녁에는 잠자리에 들기 전 재도록 한다. 화장실에 다녀왔다면 5분간 휴식을 취한 뒤 측정하고, 측정 전 30분 내에는 흡연 및 카페인 섭취를 금해야 한다. 혈압을 잴 때는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은 뒤 위팔의 심장 높이에 커프를 착용해야 한다. 측정치는 꾸준히 기록해두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