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케이캡정’, PPI계열 약물 비해 간 독성 위험 27%↓

전북대병원 이비인후과 김종승 교수팀, 보건의료빅데이터 활용 비교 분석

전북대병원 이비인후과 김종승 교수가 대한의료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HK이노엔은 P-CAB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케이캡’과 PPI계열 제품들의 간 독성 위험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해 비교 분석한 결과, 케이캡정이 다른 PPI계열 약물들에 비해 간 독성 위험이 27%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HK이노엔은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전북대학교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2년 대한의료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P-CAB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과 타 회사 PPI계열 제품들의 간 독성 위험을 비교한 ‘P-CAB PPI의 간 독성 위험 비교추적관찰 코호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를 주도한 전북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김종승 교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에 쓰이고 있는 약물들이 간 기능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약물 간 위험성을 비교했다”며 “연구 결과 케이캡정은 다른 PPI계열 약물들에 비해 간 독성 위험이 27% 낮은 것으로 나타나 PPI 약물 6종 대비 낮은 간 독성 위험률을 보였다”고 말했다. .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총 5000만 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9 1월부터 2020 12월까지 P-CAB계열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또는 PPI약물 6(덱스란소프라졸에소메프라졸란소프라졸판토프라졸라베프라졸오메프라졸) 2개월 이상 연속해서 처방 받은 환자 데이터를 추출해 간 질환 유병율 및 간 독성의 다양한 위험요인을 분석했다.

김종승 교수는기존 P-CAB계열은 간 독성 이슈가 있었는데케이캡은 이번 연구로 간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국민 대상 실 사용 데이터를 통해 약물의 부작용을 진행한 연구로신약 임에도 비교적 빠른 데이터 접근과 분석을 통해 의미있는 결론을 도출한 것이다”고 평가했다.

한편 HK이노엔의 케이캡은 P-CAB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후 유지 요법 등 국내의 동일계열 치료제 중 가장 많은 적응증을 갖고 있다정제와 구강붕해정 등 두가지 제형으로 출시됐다.  

    김용주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