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어깨 높이가 다르면?… ‘측만증’과 ‘부정렬증후군’ 의심
부정렬증후군, 신체의 축이 한쪽으로 무너지거나 기울어져 교정 필요
◆ 균형이 흐트러져 발생하는 부정렬 증후군, 측만증과 함께 성장기 악영향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휘어지는 질환으로 진행이 심하면 척추고정술 등 수술이 필요하다. 다행히 진행이 느리거나 척추의 균형이 잘 잡혀있다면 자세 교정이나 습관 개선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부정렬증후군’은 신체의 축이 한쪽으로 무너지거나 기울어진 형태로 척추측만증보다 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이 병은 디스크나 관절 질환 이후 2차적으로 신체변형이 오는 경우도 있지만 ▲다리를 꼬고 앉기 ▲한쪽 어깨로 가방을 메기 ▲짝다리 서기 등 잘못된 습관이 지속돼서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증상을 방치하면 신체의 균형이 깨져 관절과 근육이 하중을 바르게 받지 못하고 척추측만증이나 허리디스크 등 척추 관절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내장기관이 눌려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신체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좌우 성장 균형이 깨지거나 성장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주안나누리병원 척추센터 민준홍 원장은 “책상 앞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은 학생이나 직장인일수록 부정렬증후군에 많이 노출돼있다”면서 “평소 신발 굽이 한쪽만 유독 심하게 닳거나 거울을 봤을 때 한쪽 어깨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부정렬증후군을 의심하고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 크로스백 대신 백팩··· 신체 균형 유지 신경 써야
부정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바른 자세와 생활 습관을 갖는 게 중요하다. 가방 무게를 줄이고 한쪽 어깨에 메는 크로스백 보다 백팩을 사용하자.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한쪽에 체중을 싣고 기대어 서는 동작을 삼가고, 걸을 때는 똑바로 11자로 걷는 게 좋다. 매일 30분~1시간 정도 올바른 자세로 걷기나 가벼운 스트레칭도 부정렬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된다.
민 원장은 “신체가 완벽하게 대칭을 이루는 사람은 없지만, 일상 작은 생활습관으로 신체 균형을 무너뜨려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만약 부정렬증후군이 의심되고 원인 모를 통증이 지속될 경우 가벼운 통증이라도 무심코 넘기지 말고 빠른 검사와 치료를 통해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허리 피로를 풀어주는 스트레칭>
2. 마시는 숨에 배를 바닥으로 밀어내며 엉덩이를 들어 올리고 시선은 하늘을 향한다.
3. 내쉬는 숨에 복부에 힘을 주면서 등과 허리를 위로 둥글게 만든 상태에서 10초간 자세를 유지한다.
(3~5회 반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