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정신건강의 날] “아픈 건 잘못 아냐”…병원 가는 ‘용기’ 필요

(2)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인터뷰

정신이 아프다고 말할 수 있는 분위기가 될 때, 정신질환은 더 쉽게 치료될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뱅크]
[편집자주] 매년 10월 10일은 세계 정신건강의 날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고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지정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7년 정신건강복지법 개정과 함께 법정기념일로 격상했다.

예전에 비해 나아졌다고 하지만, 정신건강 질환에 대한 편견과 오해는 여전히 우리 사회에 뿌리깊게 박혀있다. 많은 이들이 정신건강 질환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사회 낙오자, 잠재적 범죄자라는 낙인을 찍는다. 그리고 이 낙인들은 수많은 환자들이 제 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게 만드는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우리 사회의 정신건강이 위험 수준이라는 경고음은 점차 커지고 있다. 좀처럼 줄지 않는 자살률, 치열한 경쟁 속 늘어나는 우울증 환자와 같은 지표가 대표적이다. 게다가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감염병이 만든 단절의 시대는 정신건강 위기를 더욱 극대화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코메디닷컴은 우리 사회의 정신건강 문제를 주제로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이하 정신과) 한덕현 교수와 이야기를 나눴다. 한 교수는 스포츠 정신건강, 아동 청소년 중독 치료를 공부한 후 중앙대병원에서 10년 넘게 연구와 진료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록밴드 노브레인의 보컬 이성우씨와 신간 «답답해서 찾아왔습니다»를 저술하기도 했다.

◇ ‘가짜 치료’ 잊고 문턱 낮은 정신과로 가자

“정신과 의사는 절대 환자를 혼내거나 어떤 행동에 대해 옳고 그르다고 단정하지 않아요. 오히려 혼내기는커녕 자신이 왜 그렇게 (괴롭게) 됐는가를 돌봐주는 사람들이죠. 증상이 뭔지, 그 원인이 뭔지를 찾아 (환자가) 나을 수 있도록 도와줄 뿐이에요.”

한 교수는 정신과가 걱정과 달리 문턱이 낮은 곳이라며 사람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이용하면 좋겠다고 말한다. 그는 정신과에 대한 의외의 선입견으로 굉장히 많은 환자가 ‘정신과 의사에게 혼날 것 같다’고 걱정한다는 점을 지목했다. 정신과 의사가 마치 점쟁이(마음을 읽는다고 말하는 주술사)나 목사, 스님처럼 도덕적인 권위로 잘잘못을 꾸짖을 수 있다는 오해다.

이렇게 정신과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세워진 원인 중 하나가 그간 우리 사회가 잘못된 정신건강 치료를 방치해왔기 때문이라고 한 교수는 분석한다. ‘정신 치료’라는 이름으로 부정적인 경험을 준 ‘사이비 치료’가 많은 사람에게 ‘상처받은 마음’으로 남았다는 것이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이 이러한 사이비 치료, 잘못된 소문에 너무나 쉽게 노출되고 상처받는다며 한 교수는 울분을 터뜨렸다.

“내(부모)가 무섭다고 아이를 무섭게 만들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카더라’가 너무 많아요. 주변에서 단 한 번도 정신과를 가보지도 않고 정신과 치료에 대해 너무 많은 말을 해요. 그 말 하나를 뱉는 걸로 다른 사람의 인생을 망칠 수도 있어요. 그렇게 입방정을 떠는 사람들이 저는 제일 나쁘다고 생각해요.”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사진=최지현 기자]
한 교수는 이들의 문제를 ‘굉장히 정확한 베이직(기초)’에서 다뤄야 한다고 강조한다. 어린이와 청소년기의 정신건강이 이후 인생에서 자아와 사회적 관계 형성 과정을 좌우하는 만큼 올바른 관리가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거기다 어른들의 상투적인 조언, 허튼 이야기는 아이들에게 통하지도 않을뿐더러 오히려 비웃음을 산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정확한 현실 파악과 명확한 원인 규명, 아이의 일상과 행동을 있는 그대로 먼저 인정한 후 문제 지점을 교정하는 것이 10년 넘게 이어진 한 교수의 진료 방침이다.

그는 부모들에게 ‘어른들이 생각하는 문제를 앞에 내놓고 (걱정되는) 모든 문제를 뒤로 숨기지 말자’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게임이나 인터넷 과다 몰입 문제 역시 먼저 아이들에게 스스로를 통제할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한다. 이를 위해 부모는 아이들의 이용 시간과 패턴을 파악해 이를 일과 시간의 한 부분으로 인정해야 한다. 부모와 청소년 본인의 노력에도 스스로를 조절하지 못한다면 정신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이는 단순히 인터넷과 게임 이용에 국한한 문제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주의력 결핍, 우울증 등 다양한 기저 원인에서 비롯한 충동 조절 문제를 의심해볼 수 있다.

최근 록밴드 보컬과 함께 책을 내기도 한 한 교수는 책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여러 채널을 통해 정신적으로 힘든 많은 이들이 정신과에 올 ‘용기’를 주고싶다는 말로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정신과는 답답해서 찾아보기도 하지만 답답해질까 봐 찾아온 곳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정신과가) 여러분들이 어떤 문제가 있어서 혹은 (문제가) 심각해져서 다른 사람들한테 끌려오는 곳이 아니고 여러분들의 마음이 어렵거나 힘들어지려고 할 때 언제든지 찾을 수 있는 그런 문턱이 낮은 곳이 되기를 바랍니다.”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