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정신건강의 날] 뭐든지 ‘잘’ 하려는 한국인, 마음은 ‘더’ 병든다

(1)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인터뷰

조바심을 내며 의미없이 ‘목표 지향’만을 추구하는 사회 분위기가 ‘지금 내가 어디에 있는지’ 스스로를 돌아볼 수 없게 만든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편집자주] 매년 10월 10일은 세계 정신건강의 날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고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지정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7년 정신건강복지법 개정과 함께 법정기념일로 격상했다.

예전에 비해 나아졌다고 하지만, 정신건강 질환에 대한 편견과 오해는 여전히 우리 사회에 뿌리깊게 박혀있다. 많은 이들이 정신건강  질환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사회 낙오자, 잠재적 범죄자라는 낙인을 찍는다. 이 낙인들은 수많은 환자들이 제 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게 만드는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우리 사회의 정신건강이 위험 수준이라는 경고음은 점차 커지고 있다. 좀처럼 줄지 않는 자살률, 치열한 경쟁 속 늘어나는 우울증 환자와 같은 지표가 대표적이다. 게다가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감염병이 만든 단절의 시대는 정신건강 위기를 더욱 극대화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코메디닷컴은 우리 사회의 정신건강 문제를 주제로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한덕현 교수와 이야기를 나눴다. 한 교수는 스포츠 정신건강, 아동 청소년 중독 치료를 공부한 후 중앙대병원에서 10년 넘게 연구와 진료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록밴드 노브레인의 보컬 이성우씨와 신간 «답답해서 찾아왔습니다»를 저술하기도 했다.

◇마음 답답한 한국인, ‘잘’ 하려고 하지 말자

“한국 사회는 별다른 이유 없이도 ‘잘’ 해야 한다는 강박에 휩싸여 있어요. (사람들이) 끊임없이 피라미드의 정점을 향해 가는데 막상 정점에 올라간 사람조차 다 올라오니 아무것도 없다는 허무감을 느끼곤 자신이 낮은 피라미드에 올라왔는지 의심하면서 다시 더 높은 피라미드의 정점을 바라봐요. 그게 사실은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요?”

한 교수는 우리 사회가 더욱 정신적으로, 심리적으로 건강해지기 위해서 ‘이제는 그만 조금 놔둬도 되지 않느냐’는 말부터 꺼냈다. 그는 단적인 예로 한국말에는 ‘잘’이란 수식어가 많이 붙는 관습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러한 우리 사회의 풍조가 한국 사회를 자연스레 정신질환에 취약한 구조로 만든 원인 중 하나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조바심을 내며 의미없이 ‘목표 지향’만을 추구하는 사회 분위기가 ‘지금 내가 어디에 있는지’ 스스로를 돌아볼 수 없게 만든다는 설명이다.

스스로 돌아볼 시간이 사라진 자리에 자라는 것은 바로 ‘불안’이다.  내가 누구인지, 지금 어디에 있는지, 무엇을 하고 있고 무엇을 해야 할지, 알지 못할 때 우리는 불안해진다. 명문 대학, 대기업 직장, 값비싼 부동산 등 목표를 향해 다같이 달려가는 길 위에서, 우리는 또 다같이 불안해지는 셈이다. 게다가 이런 불안감을 풀 곳은 어디에도 없다. 그저 불안을 이겨내지 못한 ‘내 탓’을 하는 수밖에 없다. 한 교수는 계속되는 ‘내 탓’은 결국 우울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금 나의 모습과 나의 위치를 바로 보는 일이다. 누군가가 가라는 길로 ‘잘’ 가지 않아도, 누군가가 시키는 일을 ‘잘’ 하지 않아도 괜찮다. 한 교수가 조언한 마음을 돌보는 방법은 단순했다. 그냥 좀 놔둬라(Let it be)!

“우리 사회가 자기를 자꾸 괴롭히는 쪽으로 가고 있더라고요. 우리는 일상생활을 (이미) ‘잘’ 하고 있으면서도 (더 잘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빠지게 돼요. 어떻게 보면 지금 내가 가고 있는 위치에서 그 모습을 찾고 (그대로) 바라보면서 현실적인 모습에 매달리는 것이 오히려 (진짜) 열심히 사는 사람이 아닐까요?”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사진=최지현 기자]
3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사태도 문제다. 소위 ‘코로나 블루’로 불리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의 정신건강 위기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적신호를 내고 있다. 최근 미국 정부는 불안장애 검사를 의무화해 국가적으로 진료와 치료를 강화했다.

지난해 경기연구원이 코로나19 장기화 속 국민들의 정신건강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국민의 55.8%가 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의 47.5% 보다 더 악화한 수치이다.

특히 사회적 활동과 교류가 활발한 젊은 층의 타격은 더욱 심각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년과 비교했을 때 20대의 자살 사망자수는  42.3%나 급등했고 10대와 30대에서도 각각 22.1%와 24.9%가 늘어났다.

“코로나 시대를 지나오면서 우리는 당연하게 여겼던 가장 소중한 일인 ‘일상’을 잃었어요. 일상은 (규제가) 이제 풀렸다고 해서 댐에서 물을 방류하듯 확 돌아오는 것이 아니에요. 지난 3년 가까이 통제했던 만큼 특정한 강제 없이 보통 사람들이 천천히 회복하도록 해야 해요.”

한 교수는 한 세대 전체가 감염병 통제로 일상생활을 잃어버린 기억이 향후 우울증과 세대 갈등을 심화하며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봤다. 많은 이들이 그간 일상을 박탈당한 고통과 분노를 마땅히 탓할 곳이 없는 데다가 ‘일상의 자유’가 인생의 가장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은 세대와 이전 세대와의 충돌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그는 단적인 예로 의사소통의 문제를 지적했다. MZ 세대로 불리는 코로나 세대는 언택트(비접촉) 방식과 개인주의적 생활이 당연해진 데다 콘텐츠를 ‘짤'(영화,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의 주요 장면을 짧게 편집한 콘텐츠)로 소비하는 세대다. 한 교수는 이를 새로운 세대에서 상대방에 대한 전달력 강화를 위해 ‘서론-본론-결론’ 등의 형식을 갖췄던 의사소통 방식이 소실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걱정했다.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