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진 치아 방치하면, 치매 위험 높아진다

연세대 치대 연구팀, 치아 상실과 치매 상관성 밝혀

치아가 빠져 씹는 능력이 떨어지면 영양분이 체내로 잘 흡수되지 않는다. [사진=alex-mit/게티이미지뱅크]
치아가 빠져 음식을 씹는 능력이 떨어진 노인은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치대 치주과학교실 차재국‧박진영‧고경아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다.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발치 치료를 받은 뒤 임플란트 등으로 치아 복구를 하지 않았다면 씹는 능력이 떨어지는데, 이때 치매 발생 위험이 커진다는 설명이다.

음식을 씹는 저작능력이 저하되면 뇌의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줄어들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제대로 씹지 않으면 음식물이 잘게 쪼개지지 않기 때문에 체내 흡수율이 낮아진다. 잇몸 등으로 들어간 음식물이 썩어 만성 치주염 등을 일으키면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주기도 한다.

연구팀은 여기서 더 나아가 치아 상실이 치매 발병과도 연관성이 있는지 살폈다. 2014~2020년 연세대 치대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60세 이상 488명(치매군 122명, 대조군 366명)을 대상으로 그 상관성을 조사했다.

두 시험군의 저작능력은 빠진 치아 개수와 치아를 복구한 비율 등을 통해 확인했다. 그 결과, 치매군에서 줄어든 치아 개수는 평균 6.25개로, 대조군 4.53개보다 많았다. 치매군은 발치 후 치아를 복구하지 않은 채 방치한 비율이 더 높았다. 치매군의 방치 비율은 56.48%, 대조군은 42.6%였다. 반대로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었을 때 임플란트·보철 치료를 한 비율은 대조군이 77.48%, 치매군이 66.56%였다.

차재국 교수는 “노화 과정에서 자연 소실,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었을 때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음식을 잘 씹지 못하게 된다”며 “이번 연구에 의하면 임플란트와 보철 치료로 저작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연세대 의대가 발간하는 종합의학학술지 ≪연세의학저널(YMJ)≫ 최신호에 실렸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