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우울증, 치매 온다는 징조일 수도

우울증은 귀찮아서, 치매는 실수할까봐 활동 줄어

우울해하는 노인 뒷모습
노년기에는 우울증과 치매 전조증상을 구분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사진=JV_PHOTO/게티이미지뱅크]
입맛이 없고 잠도 안 오고 우울한 상태가 2주 이상 지속된다면 ‘우울증’일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우울증은 치매가 생길 기미를 보일 때 전조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우울증과 치매 전조증상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2~3명은 우울증을 경험한다. 이 시기 우울증이 발생하면 ‘기억력 저하’가 동반돼 치매로 오인할 수 있다. 이때 치매인지, 우울증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지은 교수는 “우울증이 있으면 인지기능만 문제가 생기는 게 아니라 기분이 가라앉거나 매사에 관심, 의욕이 떨어지고 입맛이 줄고 잠을 잘 못 자는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기저기 몸이 아프거나 기운이 없고 소화가 잘 안 돼 가슴이 답답한 신체증상도 노년기 우울증의 특징”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치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우울증은 ‘인지기능 변화’가 동반된다. 젊을 때부터 우울증이 나타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중년 이후 우울증이 생기는 사람이 있는데 후자는 뇌의 퇴행성 변화가 동반됐을 가능성이 높다.

우울증 초기부터 인지기능에 문제가 있거나, 치료를 받은 뒤 우울 증상은 좋아졌지만 기억력은 호전되지 않거나, 약물치료 반응이 좋지 않으면 신경퇴행성 질환이 동반됐을 가능성, 즉 치매의 전조증상일 가능성을 고려해봐야 한다. 인지기능검사나 MRI 등 뇌영상검사를 시행하는 것도 치매 전조증상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박 교수는 “우울증과 치매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인지기능이 어떻게 나빠져 왔는가”라며 “치매 원인인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이 있으면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인지기능이 나빠진다”고 말했다. 우울증 환자는 ‘기억력이 갑자기 나빠졌다’거나 ‘기분에 따라 기억력이 좋았다 나빴다 한다’고 느낄 수 있는 반면, 퇴행성 치매 환자는 ‘기억력이 조금씩 점차적으로 악화된다’고 느낄 수 있다는 의미다.

우울증, 치매 둘 다 일상 활동이 줄어드는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의욕이 없고 귀찮다면 우울증 때문일 수 있고 실수가 생길까봐 활동을 꺼리는 것이라면 인지기능의 문제, 즉 치매가 원인일 수 있으니 이러한 점 역시 잘 살펴야 한다.

치매는 예방이 중요하다. 우울 증상이 있으면 치매 진행이 가속화되니, 우울증을 우선적으로 잘 치료해야 한다. 박 교수는 “나이가 들어 우울증이 발생했다면 꼭 병원에 내원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꾸준히 인지기능 체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