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진단키트가 견인한 ‘체외진단’ 시장 130조 규모
조기예방 패러다임...4년간 연평균 6.9%↑ 예상
26일 한국바이오협회 및 프로스트앤설리번(미국 컨설팅사) 자료에 따르면 체외진단 세계 시장은 지난해 992억2000만 달러(약 129조8000억원)에서 오는 2026년까지 연평균 6.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임상화학(화학적 특성을 활용한 진단) 및 면역진단(면역학적 특성을 활용한 진단) 분야는 올해 10.6%, 분자진단(MDx : 신체 조직이나 체액에서 단백질, DNA, RNA 등 분자를 찾아 질병을 진단)은 3.5%, 현장진단(POCT: 혈액 침 땀 등을 활용해 짧은 시간 내에 현장에서 이뤄지는 진단)은 7.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소량의 혈액으로 암을 조기 진단 하는 ‘혈액 기반 진단(Blood-based assays)기술’도 관심사다.
높은 초기 사망률을 나타내는 급성 패혈증이나, 조기 치료와 시술이 필요한 암의 경우 조기 진단이 이뤄지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정확하고 빠른 진단 기술 개발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보건부는 2020년 1월 공중보건 위기를 선언하면서 분자진단, 혈청·항체진단 및 환자관리용 진단키트를 포함한 체외진단키트를 긴급사용승인 제품군으로 허용했다. 이는 아직도 유효하다. 이러한 가속화 승인이 체외진단 시장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다는 판단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가진단키트의 증가도 시장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바이오협회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성 질환 이외에도 각종 암, 심혈관질환, 알츠하이머와 같은 중증질환 뿐만 아니라 일반 질환도 조기진단 등 맞춤 진단과 예후 예측 진단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제품개발 초기 단계부터 임상과 제품화까지를 지원하는 ‘제품화 전략 지원단’ 등 체외진단 산업육성을 위한 창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봄이 기자 bom240@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s://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