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1일간 코로나19 걸린 암 환자서 새 변이 발견”
면역력 손상된 사람이 코로나19 진화의 숙주 가능성 시사
연구진은 현재는 세계적으로 거의 자취를 감춘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중 하나인 B.1.517가 미국 코네티컷 주의 검사체에서 발견했다. 이를 추적한 결과 림프종을 앓는 60대에게서 나온 바이러스였다. 그는 2020년 11월 코로나19바이러스(SARS-CoV-2) 양성 반응을 보인 뒤 적어도 올해 3월까지 계속 양성 반응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471일간 SARS-CoV-2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는 바이러스 부하가 높았고 감염력을 갖고 있었다”고 밝혔다. 또 처음 진단받았을 때는 며칠 동안 가벼운 증상만 보였고, 그 이후로는 별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고 연구진은 전했다.
연구진의 관심을 끈 것은 지속적인 감염뿐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이러스가 환자의 내부에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연구진의 정교한 분석 결과 이 환자의 코로나바이러스는 3가지 뚜렷한 새로운 계통의 진화가 확인됐다. 연구진은 “새로운 유전자형들이 감염 후 첫 3개월 이내에 출현했으며 거의 10개월 뒤에 또다른 유전자형이 출현했다는 점에서 여러 새로운 변이체가 동시에 출현하여 잠재적으로 확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 환자의 사례분석과 글로벌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바이러스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토대로 SARS-CoV-2가 일반인들 보다는 면역력이 떨어지는 환자 내부에서 2배 더 빠르게 진화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연구진은 “만성적인 감염이 SARS-CoV-2의 진화를 가속화함을 보여 준다”면서 “오미크론, 델타, 알파를 포함한 유전적으로 다양한 SARS-CoV-2 변이의 출현이 이런 메커니즘을 통해 이뤄졌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처음 발견된 오미크론 변이가 만성질환자 1명의 체내에서 진화했을 것이라는 남아공 과학자들의 추축을 뒷받침한다. 또 면역력이 손상된 사람들이 코로나19 진화의 숙주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해당 논문은 다음 링크(https://www.medrxiv.org/content/10.1101/2022.06.29.22276868v1)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건필 기자 hanguru@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s://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