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왜 자해를 할까?

자해가 스트레스를 풀어 반복 성향..경청과 이해가 중요

자해는 성인보다 청소년에게서 더 두드러진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은 본능적으로 쾌락을 추구한다. 자신에게 고통과 상처를 주는 자해는 쾌락과는 거리가 멀다.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미국 워싱턴대 연구진은 자해를 하고 나면 기분이 나아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스트레스가 생기면 자해로 풀려는 악순환이 반복되기 쉽다.

자해에 관한 연구는 어렵다. 자해가 발생하는 상황을 적시에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개 몇 개월 혹은 몇 년이 지난 상황에서 자해 당시 어떤 기분이었는지, 몇 번이나 자해했는지를 물어야 하는데 당사자들의 기억이 왜곡되기 쉽다. 최근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이런 한계를 넘어서려 한다. 지난 몇 시간 동안 자해 충동을 몇 번이나 느꼈는지, 자해했다면 그 전후의 기분은 어땠는지 간단한 설문을 해서 대상자의 상황을 파악한다.

연구진은 이런 연구 38개를 모아서 미국과 유럽의 청소년 1644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자해하거나 자살에 대해 생각하기 직전에 스트레스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해 행위를 하면 그런 스트레스가 즉각 낮아졌다는 것이 중요한 대목이다.

자해는 성인보다 청소년에게 더 두드러진다. 2018년 호주 연구에 따르면 12~18세 청소년의 17%가 자해 경험이 있었다. 어른들이 보기엔 경악할 일이지만, 어쨌든 아이들에게 자해는 부정적인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이다.

자해의 예방은 아이들에게 정신적 고통을 풀 다른 방법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 어른이든 동년배 친구든 자신과 연결된 누군가 있다고 느끼는 게 중요하다. 연구진은 “십 대 아이들이 가정이나 학교에 소속감을 느껴 자신이 보호 또는 지지를 받고 있다는 생각을 갖는 것이 자해를 막는 방법의 하나”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또 “청소년들이 자신의 감정을 확인(이해)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경청이다. 연구진은 그저 무신경하게 스마트폰을 흘깃거리며 들어주는 정도가 아니라 △눈을 맞추며 △중간중간 아이의 말을 요약(“그러니까 이렇다는 거지?”)하여 실제로 주의 깊게 듣고 있다는 걸 느끼게 해주고 △진정성 있게 동조(“나라도 그런 상황이면 무서웠겠다”)하고 △행간의 감정을 이해해야 한다.

이 연구(A meta-analysis on the affect regulation function of real-time self-injurious thoughts and behaviours)는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실렸다.

    이용재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