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 보충제, 당뇨병 예방 효과는?
일본 기타큐슈 직업환경보건대 가와하라 테츠야 교수 연구진은 일본에서 골다골증 치료에 쓰이는 활성 비타민D 보충제 에디롤(Eldecalcitol)이 제2형 당뇨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실시했다. 2013년~2019년 일본의 3개 병원에서 포도당 내성이 손상된 1256명을 모집했다. 그들은 30세 이상의 성인으로 평균 연령은 61세였다. 약 46%는 여성이었고 59%는 제2형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었다. 그들은 3년에 걸쳐 3개월마다 당뇨병 검사를 받았다.
연구진은 무작위로 추출한 630명에게는 에디롤을 복용케 하고 다른 626명에겐 위약을 복용케 한뒤 그 효과를 비교했다. 에디롤 그룹의 약 12.5%가 당뇨병에 걸린 반면 위약그룹에서 당뇨병에 걸린 비율은 14%로 큰 차이가 없었다. 혈당치가 정상으로 회복된 것은 에디롤 그룹이 약 23%, 위약그룹은 약 20%였다.
다른 영향 요인들을 조정한 뒤 연구진은 일부 당뇨병 전단계 환자에게 에디롤이 처방될 경우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보도자료에서 그 결과가 불분명하기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또한 비타민 D를 섭취한 사람들에게서 허리 아래 및 엉덩이 뼈의 미네랄 밀도가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이 선택한 복용량이 당뇨병 예방에 적합한 것인지, 그 결과를 모든 민족에게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전 세계적으로 약 4억8000만 명의 사람들이 제2형 당뇨병을 앓고 있다. 2045년이면 그 숫자가 7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또 당뇨병은 아니지만 포도당 내성이 낮거나 당뇨병 전단계에 있는 사람이 다시 약 5억명이 된다.
체중 감소와 운동은 제2형 당뇨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지속가능성이 떨어지기에 새로운 전략이 모색되고 있다. 영국 퀸메리런던대의 타티아나 크리스티데스 교수는 BMJ 사설에서 몇 가지 의문점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비타민 D 보충이 특정 집단에게 더 효과적일 수 있는지, 그리고 치료를 더 오래 하거나 더 어린 나이에 시작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그는 “건강관리 전문가들은 비타민 D의 근골격계 건강상의 이점에 대해 환자와 지속적으로 논의해야 하며, 그들이 제2형 당뇨병의 발달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생활습관 변화를 달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당 논문은 다음 링크(https://www.bmj.com/content/377/bmj-2021-06622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건필 기자 hanguru@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s://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