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들고 사랑니 방치하면 탈 날까? 치아 건강 위해선…

사랑니는 관리가 어려워 통증이나 불편함이 없더라도 발치하는 것이 현명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흔히 사랑니는 첫사랑이 시작할 때 난다고 한다. 구강 내 제일 뒤쪽에 위치한 사랑니의 정식 명칭은 ‘제3대구치’로 보통 17~18세 전후로 해서 상하, 좌우 총 4개가 난다. 사람에 따라 개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아예 나지 않았거나 있어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경희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최병준 교수는 “사랑니는 예쁜 명칭과는 달리통증·발치의 무서움 등에 대한 이야기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꼭 빼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해 한다”며 “위치상으로 볼 때 양치질을 아무리 잘한다고 하더라도 관리가 어렵고, 몸이 피곤하거나 음식물이 끼면 쉽게 붓고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에서 발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동네 치과에 사랑니 발치를 문의해보면 간혹 ‘큰 병원에 가서 빼셔야 돼요’라는 답변을 듣기도 한다. 이는 매복된 치아가 좌우 아래 입술과 턱 주변의 감각을 느끼게 하는 신경관과 근접해 있어 위험하기 때문이다. 발치 과정에서 자칫 잘못하다간 사랑니 뿌리 끝이 신경 표면에 상처를 남겨 일시적 감각마비를 초래한다.

발치로 생긴 감각마비는 대부분 수주에서 수개월 후 자연 회복되지만, 신경 손상 정도에 따라 장기간 지속되어 약물과 물리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방사선 사진에서 신경관과 겹쳐 보일 시, CT를 활용해 신경관과 뿌리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보고 발치해야 한다.

아래 사랑니와 달리 위쪽 사랑니는 주변에 큰 신경이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 감각이상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코와 연결되는 공기주머니인 ‘상악동’이 근접해 발치가 쉽지 않다.

위쪽에 매복된 사랑니의 대부분이 상악동과 연결되어 있고 뿌리 끝에 염증이나 물혹이 있는 경우에는 내부가 뚫리는 천공 위험성도 크다.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매복 사랑니 발치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충분한 구강악안면외과 전문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현명하다.

사랑니 발치 시에는 마취로 인해 크게 아프지 않다. 다만, 아픈 감각만을 마취한 것이기 때문에 사랑니에 가해지는 힘과 뻐근함이나 분할할 때 시큰함 등은 느껴질 수 있다. 또한, 신경관과 가깝게 위치해 있다면 간혹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최 교수는 “사랑니를 빼고 난 다음 날에는 많이 아프고 붓거나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나며, 2~3일 후에는 멍이 들거나 침을 삼키기 힘든 증상, 인접치가 시릴 수 있다”며 “잠을 잘 수 없을 만큼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는데, 이는 피딱지가 잘 붙어있지 않고 떨어져 나오면서 뼈가 드러나 아프고 쓰라림을 느끼는 경우로 통증 경감 치료를 권한다”고 당부했다.

    김혜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