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증, 개인의 의지력이 아닌 ‘뇌의 변화’ 때문

 

아직도 불안증을 개인의 의지력 부족으로 취급하는 사람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생각을 바꿔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생물학저널(Journal Current Biology)’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정신질환의 일종인 불안증 환자들은 보통 사람들과 세상을 다르게 인식하는데, 이는 뇌의 변화에서 기인한다.

 

이 같은 뇌 변화 ‘뇌가소성’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뇌는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거나 자극을 받을 때 물리적 구조 기능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로 인해 불안감과 같은 감정적 반응이 일어난다. 가소성이라는 의 내재적 능력 탓에 정신질환을 경험하는 사람이 생긴다는 것이다.

 

 

 

이스라엘 바이츠만 과학연구소 연구원은 불안증을 진단받은 사람들이 위협적인 존재와 안전적 혹은 중립적인 존재를 분별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불안증이 있는 사람들은 감정적 변화를 유발하는 자극이 지나간 뒤에도 가소성이 지속되는 경험을 한다. 이로 인해 뇌는 익숙한 상황과 낯선 상황을 분별하는 능력이 떨어져 불안감이 일어난다.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이 같은 불안증은 개인의 통제 영역 밖에 있다는 점이다. 개인의 의지력 문제가 아니라 의 근본적인 구조와 기능 문제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실험참가자들을 모집해 세 가지 소리에 노출시켰다. 금전적인 손실을 입었을 때, 금전적인 이득을 봤을 때, 금전적인 상황과 무관한 상황일 때 연상할 수 있는 세 가지 소리를 들려준 것이다.

 

그 다음 실험참가자들에게 15가지 서로 다른 소리를 들려준 뒤 해당 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 물었다. 실험 결과, 불안증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새로운 소리를 이전에 들어본 소리로 착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같은 착각은 학습능력이나 청력 손실과는 무관하다. 불안증이 있는 사람은 감정적 경험과 연관된 소리를 감지하는 방법이 일반인과 다르기 때문에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불안증 환자들은 두려움과 연관이 있는 뇌 영역인 편도체의 활성도가 보통 사람들과 다르다. 불안증과 같은 정신질환은 이러한 뇌 변화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개인의 책임으로 떠넘기기 어렵다.

 

불안감 위협적인 존재를 피하는 수단이 됐다는 점에서 진화론적으로 인간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인간에 나타나는 정상적인 감정반응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하지만 뇌가소성 때문에 어떤 사람은 병적인 불안증을 보일 수 있다. 정신건강은 유전적이고 생리학적인 문제인 만큼 다른 신체질병과 분별하지 말고 하나의 질환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