뱃속의 시한폭탄… ‘복부 대동맥류’란?

 

우리 몸 안에 존재하는 동맥 가운데 가장 큰 동맥이 복부 대동맥이다. 이 복부 대동맥의 직경이 50% 이상 증가하면 복부 대동맥류라고 한다. 복부 대동맥류가 파열되면 10명 가운데 6명은 병원 도착 전에 숨지고, 수술을 받는 나머지 4명도 생명을 담보할 수 없다.

 

1. 돌연사의 주요 원인

동맥류란 정상 동맥보다 직경이 50% 이상 증가하는 상태를 말한다. 쉽게 말해 동맥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이다. 인체에서 가장 큰 동맥인 복부 대동맥의 정상 직경은 약 2㎝인데 이 복부 대동맥이 50% 이상 굵어져 3㎝ 이상이 되면 복부 대동맥류로 본다.

 

 

 

복부대동맥류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대동맥 벽이 약해져서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흡연을 들 수 있는데, 담배에는 인체에 유해한 200여 종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물질들이 인체 내에 들어가서 대동맥을 약하게 만든다. 약해진 대동맥 벽은 동맥의 압력에 의해 점차 늘어나 풍선처럼 커져 결국 복부 대동맥류가 발생한다. 하지만 한국인에게 특이한 위험인자에 대한 보고는 없어 연구가 필요하다.

 

조진현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교수는 “증상이 없다가도 순식간에 대출혈을 일으키고 일단 터지면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복부 대동맥류는 노인 돌연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말했다.

 

 

 

2. 남성, 고령, 흡연, 음주가 위험 인자

조진현 교수팀이 50세 이상 성인 남녀 20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내 복부 대동맥류 유병률은 남성이 2.0%, 여성이 0.4%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고령, 흡연, 음주, 폐 질환 등이 복부 대동맥류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해 복부 대동맥류로 수술받은 환자를 조사한 결과 2004년 385명, 2006년 682명, 2008년 1235명, 2011년 1215명, 2013년 1402명으로 10년간 3.6배 증가하였다.

 

 

 

3. 명치 끝과 배꼽 사이 만졌을 때 멍울 만져지면…

복부 대동맥류는 증상을 거의 보이지 않는데, 증상이 나타나면 상당히 진행됐다고 봐야한다. 일부 환자는 배에서 덩어리(박동성 종괴)가 만져지기도 한다. 간혹 가벼운 복통 또는 허리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는데, 이는 대동맥류 후벽의 침식에 의한 증상임으로 반드시 파열 가능성을 확인해 봐야 한다.

 

복부 대동맥류가 파열되면 혈압이 떨어지고, 안색이 창백해지며, 심한 불안감과 함께 점차 의식을 잃는다. 복부 대동맥류를 가진 사람에게서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수술을 해야 한다. 자가 검진으로는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고 명치끝과 배꼽 사이를 손으로 가볍게 만졌을 때, 심장처럼 박동하는 멍울이 만져지면 복부 대동맥류를 의심해 볼 수 있다.

 

 

 

4. 초음파 검사로 진단

복부 동맥류는 대부분 건강 검진 등 다른 검사 중에 우연히 발견된다. 복부 동맥류를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비침습적인 초음파 검사가 우선이며, 여기에서 복부 동맥류가 관찰되면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시행한다.

 

치료는 개복해 복부 동맥류 발생 부위를 인조 혈관으로 대체하는 고전적 방법과 방사선으로 투시하면서 스텐트·도관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개복 복원술은 개복에 따른 복강 및 폐·심혈관계 합병증이 스텐트·도관 삽입술보다 높지만, 안정적인 수술이 이뤄지면 이후 5년 내CT 검사를 통한 주위 대동맥의 변화를 관찰만 하면 된다.

 

 

 

스텐트·도관 삽입술은 개복 복원술에 비해 비교적 안전한 방법으로 조기 회복·조기 퇴원이 가능하고, 수술에 따른 합병증이 거의 없다. 그러나 시술 후 6∼12개월 간격으로 초음파나 CT를 통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강동경희대병원 조진현 교수는 “복부 대동맥류를 예방하는 뚜렷한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복부 대동맥류의 주요 원인이 동맥경화이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고혈압이나 흡연을 하는 경우, 심혈관 질환을 보유한 사람들은 정기적인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