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탁할 때 ‘마감’ 정하지 않아야 효과적? (연구)
오타고 경영대학원 스티븐 놀스 교수팀은 마감기한이 과제 완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했다.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기부금이 자선단체에 전달되는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도록 요청받았다. 설문조사 참여 기한과 관련해 1주일, 한 달, 그리고 마감일을 명시하지 않는 등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조사 결과, 설문조사 응답은 마감일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높았다. 한 달간 시간이 주어졌을 때 응답이 가장 낮았다. 마감기한이 없거나 1주일 안에 해달라는 마감기한이 제시됐을 때 빠른 응답을 많이 끌어냈다. 마감 날짜에 여유가 있으면 사람들은 그 일은 미뤄도 된다고 꾸물거리다 아예 잊어버리는 것으로 보인다.
놀즈 교수는 “마감이 넉넉할 때보다 짧을 때 응답받을 가능성이 큰 것은 당연하지만, 마감기한이 제시하지 않았을 때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다는 사실이 흥미롭다”고 말한다. 마감을 명시하지 않아도 참여자들은 여전히 암묵적인 마감일이 있다고 가정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는 것. 그는 “이러한 결과는 직장에서 동료의 협조가 필요하거나 배우자에게 무언가 해달라고 부탁할 때 등 다른 사람의 도움을 요청하는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는 《이코노믹 인콰이어리》에 발표됐다. 원제는 ‘Procrastination and the non‐monotonic effect of deadlines on task comple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