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장년층은 ‘사회적 고립’, 노년층은 ‘외로움’ 호소

[사진= JV_PHOTO/게티이미지뱅크]
성별로는 남성, 연령별로는 청장년층이 사회적 고립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과 노년층은 외로움에 더 취약했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팀이 ≪대한신경정신의학회 국제 학술지(Psychiatry Investigation) ≫에 발표한 내용이다.

연구팀은 전국 시, 군, 구 지역을 나눈 다음 성별, 나이, 결혼, 교육, 소득 수준, 종교 활동, 건강 상태 등을 고루 반영해 15~74세 남녀 1700명을 연구 대상자로 모집, 대면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사회적 고립감을 호소한 사람은 1700명 중 295명(17.8%)이었으며,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한 사람은 63명(4.1%)이었다.

성별 기준으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사회적 고립감에 노출될 위험이 44% 더 높았다. 연구팀은 남성이 여성보다 친구나 가족 관계가 미약한 게 한 원인일 것으로 보았다. 반면 외로움에 시달릴 위험은 여성이 남성보다 51% 더 높았다.

세대별 차이도 드러났다. 노년층은 청장년층보다 외로움에 취약했는데, 이는  배우자와의 사별, 이혼, 별거, 교육 수준, 재정 상태, 건강 상태 등의 영향을 받았다.

반면 사회적 고립감을 가장 크게 느끼는 연령대는 30~44세로, 사회적 고립감을 느낀다고 답한 295명 중 101명(34.1%)이 이 연령대였다. 이는 청장년층이 다른 세대보다 깊고 다양한 인간관계를 원하지만 현실이 기대에 못 미치기 때문일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유지되고 있는 인간관계의 대부분이 일과 관련된 사람들이라는 점,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등도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원인으로 분석된다.

사회적 고립감과 외로움은 모두 우울감, 사회적 불안감과 연관이 있으며 극단적인 선택을 할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연구팀은 개인 문제를 넘어 사회적 부담을 높이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실질적으로 외롭다고 답한 응답자는 외롭지 않다고 답한 사람의 5배가 넘는 52.4%가 ‘자살을 생각해 본 적 있다’고 답했다.

코로나 시국으로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온라인 환경에서 사람들과 접촉하는 일이 늘고 있는데, 연구팀은 이것만으로는 외로움이나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자신의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고, 새로운 대인관계를 갖는 데 두려움을 갖지 않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