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동은 정말 자기중심적일까? (연구)
더욱이 한 아이에게 집중된 부모의 과도한 관심이 자기 중심적인 행동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외동 아이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많은 사람의 생각과 달리, 외동인 아이라고 더 이기적인 것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산시사범대 연구진은 이타심과 관련된 다양한 과제를 통해 살펴본 결과, 외동아이와 형제가 있는 아이의 행동 방식에 차이가 없었다는 연구 결과를 사회 및 성격심리학 저널 《SPPS(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에 발표했다.
연구 첫 번째 파트에는 337명이 참여해, 외동인 아이들과 형제가 있는 아이들의 이타심을 자신의 관점에서 평가했다. 연구진이 세 가지 심리학적 도구를 사용해 측정한 결과, 참가자의 70%가 형제가 있는 아이가 친사회적 성향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반면 외동에 대해서는 단 55%만 그렇게 생각해 외동인 아이들이 덜 이타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두 번째 파트에는 다른 391명이 참여했다. 연구진은 동일한 세 가지 도구를 이용해 참가자 자신이 실제로 같은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에 대한 그들의 평가를 측정했다. 이번에도 결과에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에는 또 다른 99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때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살폈다. 마찬가지로 외동과 아닌 사람의 행동 방식에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전 세계적으로 전반적인 출산율이 감소함에 따라 많은 나라에서 외동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연구진은 말했다.
외동이 더 이기적일 것이라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으면 다른 사람이 보는 시각뿐 아니라 자신의 인격을 형성하는 데에도 그 고정관념이 더 확고해 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고정관념을 극복해야 한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