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 왜 혈액형 다른 사람에겐 못할까?
혈액은 대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혈액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는 수혈만이 유일한 회복 방법이다. 생사의 기로에 놓인 많은 생명들을 구할 수 있는 헌혈에 대한 궁금증을 문답 형식으로 알아본다.
Q. 저혈압인데 헌혈할 수 있나요?
헌혈을 하면 혈압이 10~20mmHg 가량 떨어진다. 따라서 저혈압이나 고혈압처럼 혈압이 정상 범위를 넘어선 사람은 헌혈 후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헌혈 전 혈압 측정을 통해 수축기 혈압이 90mmHg에 못 미치거나 180mmHg 이상인 경우,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0mgHg 이상일 때는 헌혈에 참여할 수 없다.
Q. 왜 혈액형이 다른 사람에겐 헌혈을 못하나요?
혈액형은 A형, B형, AB형, O형 4가지만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혈액형의 종류는 500가지에 이를 정도로 다양하다. 하지만 수혈 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은 ABO식 혈액형과 Rh식 혈액형이므로 이 두 가지만을 기준으로 수혈을 진행한다.
Rh 혈액형은 양성과 음성으로 나뉜다. Rh 양성인 사람은 양성과 음성 모두 수혈 받을 수 있지만, Rh 음성인 사람은 음성만 수혈 받을 수 있다. ABO 혈액형에서는 O형만 모든 혈액형에 수혈 가능하다.
만약 ABO 혈액형과 Rh 혈액형의 수혈 가능 조건에서 벗어난 수혈이 발생하면 적혈구의 세포막이 파괴되는 급성 용혈성 수혈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체온이 오르고 맥박이 빨라지며 숨이 차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수혈 중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재빨리 수혈을 중단하고 생리 식염수를 주입한 뒤 수혈 부작용 여부를 테스트 받아야 한다.
Q. 헌혈 후 건강에 이상이 생기진 않을까요?
체내 혈액량의 15%는 여유분이다. 헌혈량인 320~400mL는 여유분 내에서 해결 가능하므로, 건강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우리 몸은 매일 새로운 혈액을 생성하고, 헌혈 후 1~2일 내면 혈액순환이 회복된다.
헌혈 과정에서 에이즈 등 감염병에 걸릴까봐 걱정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헌혈 시 사용되는 모든 기구들은 무균 처리한 상태이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없다. 사용한 바늘과 혈액백은 폐기처분된다.
Q. 헌혈이 불가능한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요?
남성은 50kg, 여성은 45kg 미만의 체중이 나간다면 헌혈에 참여할 수 없다. 연령 기준으로는 만 16~69세 사이에 헌혈할 수 있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12mg/dl 이하여도 헌혈할 수 없다. 헌혈을 하기 전 혈액이 충분한지 확인하기 위해 헤모글로빈 수치를 측정한다. 혈액의 모든 성분을 뽑는 전혈 헌혈은 12.5mg/dl 이상, 일부 성분만 뽑는 성분 헌혈은 12mg/dl 이상일 때 헌혈할 수 있다.
헌혈 전 자신의 건강 상태를 살피는 것도 중요하다. 여성의 경우 문진을 통해 현재 월경 중이거나 극심한 다이어트를 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헌혈 부적격 판정을 받을 수 있다.
Q. 헌혈 후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헌혈 후에는 일시적으로 혈압이 떨어져 빈혈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10분 정도 병원에 대기하면서 어지럼증, 메스꺼움,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지 확인하도록 한다. 어지럼증 등이 나타날 땐 병원의 도움을 받아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누워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또한, 헌혈을 한 당일에는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하고, 사우나·찜질방 등은 방문하지 않도록 한다. 과격한 신체활동도 피해야 한다.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s://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