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왜 창피한 감정을 느낄까?

사람은 왜 창피한 감정을 느낄까?
[사진=shurkin_son/shutterstock]

다른 동물과 달리 사람은 창피함과 부끄러움을 느낍니다.

창피함부끄러움수치스러움 등의 감정은 행복이나 기쁨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보다
슬픔이나 분노처럼 ‘부정적인 감정’ 카테고리에 가깝죠.

전혀 즐겁지 않은 이런 감정은 도대체 왜 드는 걸까요?

 

[사진=sirtravelalot/shutterstock]

최근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의 연구가 이에 대한 답을 제시했습니다. 수치심은 인간의 생존과 번영에 유용하게 작용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존재하는 것일 거란 설명이죠.

특히 사람의 이기적인 생각과 행동을 제어 하는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해석했는데…

실험을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사진=file404/shutterstock]

연구팀은 에콰도르, 시베리아, 모리셔스 등 서로 다른 지역 15곳에 사는 사람 89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실험 참가자들과 동일한 성별을 가진 가상의 인물에게 처한 12가지 상황을 제시하고, 각 상황이 부끄러운 상황인지 아닌지 물었죠. 각 인물은 얼굴이 못생겼거나게으르거나도둑질 했거나 하는 등의 상황에 놓여있었습니다.

더불어 각 인물의 평판에 대한 점수도 매겼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각 인물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은 것이죠. 또 각 인물들이 자신의 처지를 부끄럽게 여길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판단해보도록 했습니다.

 

[사진=LumineImages/shutterstock]

분석 결과, 수치심을 크게 느낄 것이라고 판단한 인물과 다른 사람으로부터 안 좋은 가치 평가를 받았을 것이라고 본 인물이 일치하는 패턴을 보였습니다. 동일한 지역에 사는 실험 참가자들의 답변이 보다 유사하긴 했지만, 전반적인 실험 참가자들의 답변 패턴 역시 비슷했습니다.

즉, 수치심은 문화접촉에 의한 생산물이라기보다 자연선택에 의해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감정일 것이란 분석이죠.

 

[사진=fizkes/shutterstock]

연구팀은 “인류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작은 집단에 소속돼 살아왔다”라며

집단의 생존을 위해서는
부끄럽고 창피한 감정이 존재해야 했을 것

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른 구성원들과 대립되는 행동은 집단의 생존에 위협이 되므로, 이에 대해 수치스러움을 느끼도록 진화했다는 것이죠.

또 집단의 번영을 위해서도 필요했을 것으로 보았는데 다른 사람의 음식을 몰래 훔친다거나 자신만 수렵과 채집에서 빠지는 이기적인 행동이 창피하다는 걸 느껴야 집단 번영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수치심은 집단이 위기에 빠지지 않고 안정적인 사회가 유지되도록 만드는 중요한 수단이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Asada Nami/shutterstock]

이번 연구는(Cross-cultural invariances in the architecture of shame)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9월 게재됐습니다.


<이지원 에디터 / ljw316@kormedi.com>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