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의 부작용과 정부 발표의 부작용

[박창범의 닥터To닥터] 코로나19 백신의 원리와 한계, 정부의 대응

현재 코로나19에 대한 백신은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것으로 작용방식은 약간 다르다. 알려진 대로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의 백신은 mRNA를 이용한 방식이고 아스트라제네카는 벡터를 사용한 방식이다.

기존의 백신은 바이러스의 껍질표면에 있는 단백질을 몸에 주사하거나(사백신), 약화된 바이러스를 직접 주사하는 방식(생백신)이었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mRNA를 사용한다. 여기서 mRNA는 ‘Messenger RNA’의 약자로 전사RNA, 전령RNA 등으로 번역된다. mRNA는 DNA의 정보를 전사(轉寫)해 단백질 합성효소에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RNA다.

mRNA백신은 체내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정보를 가진 mRNA를 투입,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이 삽입된 바이러스의 mRNA로 인해 생성된 단백질을 인식해 항체를 만들도록 유도하는 방식의 백신이다. 여기에서 스파이크 단백질은 바이러스의 표면에  오돌토돌 튀어나온 ‘돌기단백질’로, 자신의 정체를 표시한다. 세포를 뚫을 때는 세포가 아군으로 인식케 해서 속이는 전략을 쓰며, 보안시스템을 뚫는 암호키에도 비유된다.

기존 백신들이 달걀에서 단백질 원료성분을 배양하는 등 길고 긴 절차를 거치는데 비하여 이 방식은 제조공정이 훨씬 빠른 장점이 있다. 모더나 백신은 임상시험에 필요한 백신분량을 2주만에 생산했다고 한다. 하지만 단점은 mRNA 백신은 이제까지 사용된 적이 없는 새로운 방식이라는 것이기 때문에 안전성이나 효과가 정확히 검증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는 mRNA 백신은 mRNA가 단일 가닥 분자라는 특성으로 인해 분자의 안정성이 훨씬 떨어지기 때문에 백신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초저온 온도로 보관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화이자 백신의 경우 보관온도기준을 영하 75도로 설정했고 모더나는 영하 20도로 정했다.

이러한 백신을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영하 수십도의 극저온 콜드체인을 유지해야 한다. 만약 이를 실패하면 백신의 효과가 사라지게 된다. 문제는 유통기간동안 초저온 유지는 선진국에서도 유지하기 쉽지 않은 것으로 미국에서 생산된 백신을 우리나라까지 비행기로 이송하고 다시 비행기에서 백신접종지역까지 그리고 사람들에게 접종할 때까지 보관과 유통에 지속적인 콜드체인이 필요하다는 제한점과 짧은 유효기간문제는 결국 대도시 대형병원에서만 접종이 가능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모든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지만 DNA가 숙주 염색체 속으로 삽입되지 않아 스스로 복제하는 능력을 없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에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를 삽입해 인체에 투여하면 삽입된 유전자가 세포속에서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생산하고 이를 세포가 인식해 항체를 만드는 방식이다.

이는 아데노바이러스라는 생명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2-8도의 상온에서 약 6개월정도 보관이 가능하고 가격도 다른 백신에 비하여 싸며 동시에 보관과 유통에 대한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문제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외부물질로 인식하고 공격하기 때문에 제기능을 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첫번째 접종에는 이 백신이 효과를 보일 수 있지만 접종을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벡터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어 효과가 더 떨어질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 감염자들의 특성을 보면 항체지속기간이 3-5개월로 짧은데 이러한 양상을 보면 최악의 경우 백신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1년에 두 번 이상 예방접종을 맞아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백신은 3회이상 접종하는 경우 백신의 효능이 급감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고려할 것은 위 백신의 항체 유지기간이 얼마나 될지 우리는 전혀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단지 백신을 접종하면 1년은 면역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는 단계이다.

하지만 이전 백신의 경험을 보면 바이러스의 일부분을 갖고 백신을 만들었을 때 항체가 만들어지더라도 그 효과가 떨어지거나 항체유지기간이 짧은 경우가 많다.

특히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한 노약자들은 신체 면역반응이 떨어진 경우가 많아 이들에게도 백신이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지에 대하여 데이터가 부족하다.

가장 큰 문제는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는 대규모의 3상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안전성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의학 저널 《란셋》에서 발표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연구에 약 1만1000명의 참여자 가운데 2명이 중대한 부작용인 횡단성 척수염으로 하지마비가 발생했다고 한다. 만약 우리나라에서 정부가 확보한 대로, 1000만 명의 건강한 사람이 백신을 맞는다면 위와 같은 부작용이 2000여 명에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 문제인 것은 잘 통제된 수천 명 정도의 임상시험과 달리 수천만 정도의 상태가 매우 다른 사람들에게 접종을 하다 보면 잘 알려지지 않은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인해 사망할 수도 있다.

이외에 백신접종과 관련된 윤리적인 문제점으로 첫째 백신은 순차적으로 국내에 들어올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여기서 누가 우선순위로 맞을 것인지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에 취약한 노약자가 먼저 맞을 것인가, 아니면 이런 환자들을 돌보는 의료진들이 우선적으로 맞을 것인가이다.

또, 각 백신마다 효과성이 차이가 나는데 예를 들어 모더나와 화이자의 경우 예방효과 95~95%인 반면,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평균 70%정도의 효능을 보인다. 그렇다면 누가 어떤 백신을 맞을 것인가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런 백신의 비용을 누가 댈 것인가이다. 현재 독감백신과 같이 저소득층이나 고령군의 경우에만 정부가 무료로 접종할 수도 있고 모든 국민들에게 모두 무료로 접종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 비용도 엄청날 것이고 잘 사는 사람들에게도 무료로 접종하는 것에 대하여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최근의 코로나19 대유행은 세계경제와 우리나라 경제에 수많은 상처를 내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코로나19 백신을 사람들은 구세주로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위의 연구결과들을 보면 코로나 19백신은 아직도 개발 중이라는 것이 맞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신은 현재상황을 바꿀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임에는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정부는 백신을 충분하게 구하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이 두려운지, 최근 백신의 안전성이 아직 확보되지 않았다고 강조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안전성을 강조하다 보면 최근 독감백신사태에서 보듯이 막상 백신이 구해지더라도 사람들이 주사를 맞기를 꺼리거나 남들이 맞고 나서 늦게 맞겠다는 등 여러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정부는 자신들의 말과 행동이 어떤 결과를 일으킬 것인지 좀 더 신중하게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창범 교수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
    댓글 쓰기
    • 박*** 2021-01-09 05:52:05 삭제

      코로나 바이러스가 호흡기 감염병이면 당연히 공기관리가 기본인데 전문가 조차도 환기가 안되는 곳은 가지말라는 말 한마디가 전부입니다 . 공기관리의 어떤것이 문제이고 어떻게 고쳐야한다는 것을 얘기해주어야할것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환기시설이 상부급기 상부배기 방식으로 공기의 흐름 자체가 감염을 확산시킬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것을 상부급기 하부 배기 방식의 클린룸 형태로 바꾸어 주어야만 올바른 공기 관리가 됩니다. 지금의 위험시설에 환기시설이 없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환기가 안되는 것이 아니고 잘못된 환기 방식이 문제입니다. 자연환기를 한다고 하면 창문쪽의 확진자와 안쪽의 일반인과의 바이러스 전파를 막을수 있을까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공기로 전파되는 호흡기감염병인데 뉴딜이나 그린 뉴딜에 공기관리가 빠져있다는 사실이 경악스럽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올바른 공기관리 대책을 세워야할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dCXyhoZjl8&t=1201s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