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혼사 막을까 피하는 정신과 치료…돌파구는 ‘이것’

[사진=triocean/gettyimagesbank]
정신건강이 위태로운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병원에 가거나 약 먹기를 꺼리는 사람들 역시 여전히 많다. 이로 인해 ‘디지털 치료제’가 주목 받고 있다.

성인 인구 5명 중 1명은 정신 건강으로 애를 먹고 있다. 하지만 정신과 치료나 정신과 약 복용 이력이 남으면 취업이나 혼사에 지장을 줄 것 같아 이를 피하는 사람들이 있다.

대신 상담 치료를 받기도 하는데, 여기에 드는 시간과 비용, 또 잘 맞는 상담전문가를 만나지 않으면 치료 효과가 한계적이라는 점에서 상담 치료마저 받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정신과 치료의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에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가 정신과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연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김진우 교수는 바이오코리아 미래기술 컨퍼런스에서 “디지털 치료제는 양질의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하드웨어, 약물 등이 결합해 질환을 예방, 관리, 치료하는 것”이라며 “치료는 진단보다 난이도가 높고 개발하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지만 성공한다면 시장파괴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로 비대면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있어, 의사와 대면하지 않고 집에서 정신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을 주는 디지털 치료제가 활성화될 것이란 사실을 의심하는 시선도 줄고 있다.

하드웨어나 약물 없이 소프트웨어만으로 의료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aMD) 분야가 관심을 받는 것은 미국 FDA가 제안한 획기적인 개선안 때문이다. 김진우 교수는 “이 개선안은 안전성, 임상적 책임, 사이버 보안 등의 조치를 취한 양질의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다는 전제 하에 마켓으로 나가기 위한 인허가 기간을 최소 10~15년 걸리던 것에서 최대 3년으로 대폭 단축시키겠다는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기계학습 소프트웨어는 한 번 허가를 받으면 성능을 개선할 때마다 추가심사 없이 서류작업만으로 간편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기회를 잡기 위해 미국 실리콘벨리 등을 중심으로 디지털 치료제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IT회사뿐 아니라 제약회사, 보험사 등도 디지털 치료 개발을 서포트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

우울증 치료, 불면증 치료, 금연 등 중독 치료, 노인을 위한 치매 치료, 아동을 위한 ADHD 치료 등 디지털 치료 분야도 확대되고 있다.

물론 약물 치료제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치료제 역시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돼야 한다. 약물 치료와 달리, 사용자의 ‘경험요인(UX)’도 고려해야 한다. 아직 해결 과제가 아직 많지만, 이러한 과정들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2030년 이후 50조 원 이상의 디지털 치료제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