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 혈압 및 콜레스테롤 개선하는 장내 세균 활성화…“심장 건강에 도움”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 대학교(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와 주니아타 컬리지(Juniata College)의 공동 연구로 진행된 이번 실험은 심장 질환 위험이 있는 과체중 또는 비만 (BMI: 25.0 – 39.9 kg/m2) 군에 속해 있는 30세~65세의 참가자 4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우선,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고자 모든 피실험자들은 2주 동안 일반적인 서양식 식단 (탄수화물 48 %, 단백질 17 %, 지방 35 %, 포화 지방 7 %)을 섭취했다.
다음, 피실험자를 세 그룹으로 무작위로 나눈 후 포화 지방 대신 각각 ‘호두’, ‘오메가-3 ALA 함유된 식물성 기름’, ‘오메가-9올레익산이 함유된 식물성 기름’의 식단을 6주간 섭취하도록 했다.
모든 참가자들은 각 개입 사이에 평균 22.8일의 휴식 기간이 포함된 6주간의 식단을 따랐으며, 심장 건강의 기준이 되는 혈압, 콜레스테롤과 소화기에 서식하는 미생물 지수를 식단 전과 후를 기준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 일반적 미국식 식단과 비교했을 시, ‘호두’ 및 ‘오메가-3 ALA 함유된 식물성 기름’을 섭취 한 피실험의 장내 세균이 유익한 쪽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결과에 대해 ‘오메가-3 ALA’의 긍정적인 역할이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호두’ 식단만 진행한 피실험자의 경우, 심혈관 건강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엘라기탄닌 (ellagitannins) 등 특정 종의 박테리아가 많아 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다른 과학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몇 가지 연구적 한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장내 세균의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차적 대사 산물은 평가하지 않았으며, 또한 장내 세균총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ALA에서 EPA로의 변환도 평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분변 샘플은 장내 환경 전체를 대표하는 것이 아닌 경우가 있다. 이는 식사, 약물요법, 라이프스타일 및 기타 요인에 따라 개인 간에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보다 광범위한 집단을 통한 결과를 밝혀 내려면 대규모의 장기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운동 부족과 비만 등으로 인해 심혈관 질환을 호소하는 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심혈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장내 세균을 활성화시키는 호두를 꾸준히 섭취하면 건강한 몸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987년에 설립된 캘리포니아 호두협회(CWC)는 생산자들의 기금으로 운영되는 비영리기구이다. 캘리포니아 호두협회 (CWC)는 캘리포니아 주 식품 농무부(CDFA)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호두 관련 임상 연구 및 해외 시장 개발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호두협회(CWC)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협회 사이트 (www.walnuts.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