핏속에 기름때 끼면, 동맥경화-췌장염 위험 ↑
중성지방은 음식물로부터 공급 받은 당질과 지방산을 재료로 간에서 합성된다. 1g당 9kcal의 에너지를 낼 수 있어 칼로리 섭취가 부족할 때 에너지원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중성지방의 수치가 지나치게 올라가면, 콜레스테롤 변형이 일어나 이상지질혈증, 동맥경화증, 췌장염 등의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의 보고에 의하면 이상지질혈증은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 남자 2명 중 1명, 여자 3명 중 1명에게 나타날 정도로 흔하다. 하지만 중성지방이 높은 고중성지방혈증은 남자에게 훨씬 많다. 30~40대 남자 3명 중 1명에게 나타나는데, 이는 동일 연령대 여자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치다.
췌장염의 위험도 증가한다. 중성지방 수치가 500mg/dL 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지면 응급질환인 급성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다. 미국 내과학회지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혈액의 중성지방이 100mg/dL 오를 때마다 급성 췌장염의 위험도가 4%씩 증가한다.
문제는 고중성지방혈증은 대부분 증상이 없어 알기 어렵다는 점이다. 혈액검사로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12시간 이상 금식을 하고 채혈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중성지방 수치가 200mg/dL 이상인 경우, 생활 습관 교정과 함께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술이나 기름진 음식, 탄수화물이 많이 든 음식을 자주 먹는 사람 △비만하거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대사증후군 환자 △만성콩팥병 환자 등은 중성지방 수치를 꼭 체크하고, 수치가 높을 땐 생활습관을 개선해나가야 한다.
중성지방 수치를 조절하는 방법은?
식사요법, 운동요법, 체중조절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 고중성지방혈증의 정도나 증상에 따라 약물요법을 실시할 수도 있어 전문의와 상담 후 조절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정인경 교수는 “아무리 좋은 약을 처방받아도 식사나 운동 요법 없이는 고중성지방혈증을 관리하기 어렵다”며 “처음부터 무리한 계획을 세우면 의욕이 떨어져 운동과 식사 조절 계획을 포기하게 만든다. 주 3회 무조건 헬스장에서 운동하기와 같은 계획보다는 이동할 때 에스컬레이터 대신 계단으로 이동하기, 술이나 지방 또는 탄수화물 많은 음식 줄이기 등 작은 계획부터 실천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좀 더 계획적으로 생활습관을 개선해나갈 수 있다면 전반적인 에너지 섭취량을 줄이고, 규칙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하도록 한다. 중등도 강도로 주 5회 30분 이상 혹은 고강도로 주 3회 20분 이상 하는 것이 중성지방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운동법이다.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