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학제 진료 받은 ‘간암 환자’ 생존율은 71%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백승운, 영상의학과 임효근 교수 연구팀은 2005년부터 2013년 사이 새로 간암을 진단받은 환자 6619명을 대상으로 생존율을 분석했다. 이들 환자를 다학제 진료를 받은 경우(738명)와 그러지 않은 경우(5881명)로 나눈 후 장기 생존율을 비교했다.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1.2%로, 그렇지 않은 환자(49.4%)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의 나이와 성별, B형 간염 여부, 암 진행상태 및 진단 시점 등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모두 고려해 통계적으로 보정했을 때도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의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사망 위험도를 계산했을 때 또한 다학제 진료만으로 사망 위험을 약 33% 줄일 수 있다고 분석됐다. 특히 간암이 진행형이거나 간 기능이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간암의 치료법이 다른 암보다 복잡하고 선택 가짓수도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간암은 주로 만성간질환 환자에서 발생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해도 재발률이 높다. 치료 시 간 기능을 보존해야 하는 것도 치료를 어렵게 하는 요소로 꼽힌다.
간암 치료는 간절제술, 복강경 간 절제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에서부터 고주파 열치료, 냉동치료, 마이크로웨이브 소작술, 색전술, 방사선색전술과 같은 중재시술, 방사선치료, 항암치료, 표적치료, 면역치료 등 선택지가 다양하며, 다양한 조합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생체 부분 간이식 및 뇌사자 간이식도 간암 치료로 가능하며, 최근에는 양성자치료까지 더해지면서 더욱 복잡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러 진료과의 의사가 모여 협력하여 치료 방향을 제시하는 다학제 진료는 환자에게 개인 맞춤형의 최적화된 치료법이 제시될 가능성이 더 높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간암 치료에 다학제가 왜 필요하고, 환자에게 얼마나 도움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면서 “다학제 진료가 간암 진료에 완전히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희진 기자 miro22@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s://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