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극악구충증

정의

악구충에 의한 인체 감염증(gnathostomiasis)은 1889년 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됐습니다. 그 후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제국과 일본, 중국, 인도,필리핀, 이스라엘, 멕시코 등에서 많은 증례가보고됐습니다. 인체 감염증의 원인 충체로는 거의 대부분의 증례에서 유극악구충이 보고됐고, 가끔 돼지악구충이 보고됐습니다. 근래에 와서는 일본악구충과 멧돼지악구충의인체 감염이 확인됐습니다.

 

병원체는 살모넬라균 가운데 파라티푸스 A, B, C입니다. 파라티푸스 A와 C는사람에게만 기생합니다. 길이는 2~3㎛인 그람 음성 간균이며, 운동성이 있습니다. 파라티푸스는 살균바이러스(박테리아파지)에 의해 세분화 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파지형은 파라티푸스 A가 8종, 파라티푸스 B가 48종입니다. 항원으로는 O와 H항원이 있습니다. 우리 몸 밖에서의 생존기간은 대변에서 60시간 안팎, 물에서 5~15일, 고여 있는 물에서 6개월 이상입니다. 추위에도 강한 편입니다.

원인

유극악구충, 돼지악구충, 일본악구충, 멧돼지악구충이 포함되는 10여 종만이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매개체

1. 제1 중간숙주

 충종과관계없이 물벼룩으로 통칭되는 담수산 요각류인 검물벼룩(키클롭스), 톱니꼬리검물벼룩, 보통검물벼룩, 온난검물벼룩, 가시검물벼룩속에 속하는 종류가 다수 보고됐습니다.

 

2. 제2 중간숙주또는 운반숙주

 충종에따라 다음과 같이 보고돼 있습니다.

 가. 유극악구충

   가장 중요한 인체 감염원은 가물치입니다. 이와 함께 메기·미꾸리·동사리·뱀장어·풀망둑·잉어·붕어 등 어류 8종류, 민물게·붉은가재(아메리카가재)·동남참게 등 갑각류3종류, 개구리·도룡농·두꺼비 등 양서류 8종류, 뱀등 파충류 5종, 조류23종, 포유류 6종류 등이 보고돼 있습니다.

 

 나. 돼지악구충

  미꾸리, 붕어, 개구리(참개구리, 늪개구리), 살모사, 흰쥐, 마우스 등이 보고돼 있습니다.

 

 다. 일본악구충

  미꾸리, 메기, 시마연어, 황어, 유혈목이 등이 보고돼 있습니다.

 

  라. 멧돼지악구충

   반시뱀(오키나와하부), 애기반시뱀(히메하부), 무당뱀, 능구렁이, 살모사 등 다섯 종류의 뱀과 두 종류의 도룡뇽이 보고돼 있습니다.

 

전파 경로

인체 감염은 유충에 감염된 중간숙주 또는 운반숙주를 날로 먹었을 때 이뤄집니다. 약수 또는 자연수 속에 포함돼 있는 유충 감염 요각류를 함께 먹었을 경우와 유충 감염 제2 중간숙주 또는 운반숙주를 생식했을 경우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유충 감염 담수어 또는 육류를 날로 다룬 오염된 도마나 조리사의 피부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발생 현황

역학적 특성 악구충은 일반적으로 담수산 요각류를 제1 중간숙주로하고 담수어 또는 양서류(올챙이)를 제2 중간숙주로 하여 생활사가 영위됩니다. 인체 감염은 유충에 감염돼있는 중간숙주 또는 운반숙주를 날로 먹었을 때 이뤄집니다.

 

약수 또는 자연수 속에 포함돼 있는 유충 감염 요각류를 함께 먹었을 경우와 유충 감염 제2 중간숙주 또는 운반숙주를 생식했을 경우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유충 감염 담수어 또는 육류를 날로 다룬 오염된 도마나 조리사의 피부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증상

악구충의 유충은 인체에 침입됐을 때 장벽을 뚫고 나와 피하조직 및 체내로 이행합니다. 이때 어떤 장기로 가느냐에 따라 병원성이 달라집니다. 충체 이행부위별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피하악구충증(subcutaneous gnathostomiasis)

감염 초기에 충체가 장벽과 간을 통과해 이행하기 때문에 2~3주일동안 상복부통, 오심, 구토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납니다. 피하조직 안으로 이행하면 경화된 결절이 만들어지거나 이행 부위를 따라 터널이 형성됩니다. 결절은 부종과 염증 반응에 기인한 것입니다.

 

때로는 가려운 홍반성 피부 반응이 나타납니다. 구충에 의한 피내 이행 병소와 달리 피하 또는 빈번하게 근육 안으로까지 깊게 병소를 만들기 때문에 이행 종창이 단속적으로 나타나며, 직경이 수 센티미터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2)중추신경계 악구충증(CNS gnathostomiasis)

중추신경계에서 충체가 자유롭게 이행하면서 조직을 파괴해 신경근척수염, 신경근척수뇌염, 거미막하출혈 등을 유발합니다. 척수신경통은 충체가 척수근신경을 통해이행하는 결과로 야기되며, 1~5일 동안 지속됩니다. 척수신경통은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지 마비를 동반합니다. 마비의 정도는 경미한 것에서부터 해당 사지의 극심한 약화까지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악구충 뇌염의 증례에서 가끔 사지 마비가 동반되는 두개신경 증상이 나타납니다. 두개 신경 마비, 안진, 수막과민 등이 특징적인 소견입니다. 악구충증의 특징으로 생각되는 명백한 이행 양상을 나타냅니다. 충체의 위치에 따라 통증, 마비,간질 발작, 혼수 등 증상이 나타납니다. 뇌척수압이증가하는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 척수액이 출혈성 또는 황색성이며, 호산구증다증이모든 증례에서 관찰됩니다.

 

3)눈 악구충증(ocular gnathostomiasis)

충체가 시신경을 경유 해 이행함으로써 유발됩니다. 가끔 벨 마비(제7 뇌신경 마비)가 동반되기도하고 이물감, 시력상실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충체의 이행 부위에 따라 임상적 발현이 달라집니다. 전포도막염, 녹내장등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4)폐 악구충증(pulmonary gnathostomiasis)

초기에 피하부종, 호산구증다증,원인불명의 편측성 흉막삼출액 등 증상이 나타납니다. 기침과 흉통이 있고 흉부 엑스레이(X-ray) 소견 상 병소가 있는 증례에서 충체가 객출된 증례 및 자연기흉을 주소로 하는 증례가 보고됐습니다.

 

5)위장 관계 악구충증(gastrointestinal gnathostomiasis)

악구충이 장벽을 침입하면 장벽이 두꺼워지고 좁아지기 때문에 위장 관계 악구충증의 주 증상은 폐색에 의한급성 복증으로 나타납니다. 조직학적으로는 호산구, 다형핵세포, 림프구 등으로 이뤄진 농양이 나타납니다.

진단

악구충증의 진단은 주로 유행지에서의 담수어 생식 여부와 피하이행종창과 같은 임상 증상을 토대로 이뤄집니다. 임상적으로 이행성 형태의 경우 구충의 피내이행증 또는 피내승저증과 감별해 진단돼야 합니다. 비이행성 형태의 경우는 종기증과 구별돼야 합니다. 충체가 회수되는증례는 흔치 않지만 충체가 회수됐을 때에는 충체의 형태학적 특징을 토대로 하여 정확한 종동정이 이뤄져야 합니다(표 3).

 

인체로부터 발육한 3기 유충뿐만 아니라 유약충 및 성충도 회수됩니다. 인체에서 회수된 악구충의 충체의 크기는 12.5×1.2mm입니다. 조직에서 처음 분리됐을 때에는 엷은 적색이며, 가끔 검은 장관을가집니다. 충체의 앞 부위에는 특징적인 두구가 있어서 경부 협착이 뚜렷하며, 체 부위에는 피극이 밀생해 있습니다.

 

조직학적으로 충체의 횡단면에 나타나는 다음과 같은 소견들이 악구충증의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첫째 각피층이 각피하층보다 두껍고, 측선이 잘 발달돼 있습니다. 둘째 앞쪽 식도 부위의 절편에서는 4개의 둥근 경부낭이 나타납니다. 셋째 근육세포는 각 4분의 1 부위당 10~15개이며, 윤곽이 뚜렷한 세포 경계를 띠고 있습니다. 넷째 장은 비교적 잘 발달돼 있으며, 성긴 과립세포와 경계가 뚜렷한쇄자연을 띱니다. 다섯째 창자 세포는 원주상 또는 구형이며, 조직절편당 10~30개의 세포로 구성돼 있습니다. 창자세포 내 핵의 수는 유극악구충의경우 세포당 평균 3개, 돼지악구충은 평균 1.2개, 멧돼지악구충은 평균1.8개, 일본악구충은 대부분 1개입니다.

 

충체 검출이 항상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혈청학적 검사가 적용돼 왔습니다. 발육한 3기 유충의 조추출액 또는 분비배설물을 이용한 효소면역반응(ELISA)이 혈청 또는 척수액에서 항원 특이 IgE 또는 IgG 항체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됐습니다. 이때 분비배설 항원이 체강조추출액보다훨씬 좋은 진단적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극악구충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제3 기 유충 유래의 24kDa 당단백 항원이 면역학적 진단에 사용되기도했습니다.

예방

자연수 또는 약수를 생수로 마시지 말아야 하고 가물치를 비롯한 담수어,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을 날로 먹지 말아야 합니다. 아주 드물기는 하지만 담수어 또는 육류를 날로 다룬 오염된 도마 또는 조리사의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