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청원에 까발려진 제약사…“투자자만 웁니다”

[바이오워치]

[사진=vladans/gettyimagesbank]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불법 리베이트 혐의로 동성제약을 압수 수색한 지 하루만에 또 다른 제약사 명단이 공개되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식약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의 동성제약 압수 수색은 감사원 통보로 진행된 것. 앞서 감사원은 10월 서울지방국세청이 조사한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제약사 법인 통합 조사 결과를 식약처에 통보한 바 있다.

당시 조사 결과 5개 제약사가 약 375억 원에 해당하는 불법 리베이트 행위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식약처가 규모가 가장 큰 동성제약을 압수 수색했고, 나머지 4개 업체에 대해서도 추후 압수 수색 가능성을 열어놓은 상태.

이와 관련 청와대 청원 사이트에는 나머지 4개 제약사 명단을 공개하라는 청원이 올라왔고, 18일 한 언론을 통해 나머지지 제약사 명단이 공개됐다.

공개된 제약사는 보령제약, 하나제약, 이연제약 등. 이들 제약사는 식약처의 추가 압수 수색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는 입장에 처했다.

파도파도 나오는 리베이트 제약사

18일에는 서울경찰청에 의해 또 다른 제약사의 불법 리베이트 행위가 드러났다.

M제약사는 자사 프로포폴 매출 증대를 위해 전국 711개 병의원에 정상 금액으로 판매했다가 수금 단계에서 10~30%의 할인율을 적용해 수금하는 방식으로 총 8억7000만 원에 달하는 리베이트를 제공했고, 리베이트를 숨기기 위해 할인으로 인한 미수금을 마치 현금으로 수금된 것처럼 이중 장부까지 작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M제약사 대표 및 임직원 30명을 약사법 위반으로, 이들로부터 프로포폴과 의료 장비를 무상으로 제공받은 의료인 등 36명을 의료법 위반으로 입건했다.

지난 11월에는 서울서부지방검찰청이 안국약품을 하루 종일 압수 수색했다. 식품 의약조사부 소속 직원들은 하드 디스크, 이동식 저장 장치, 회계 장부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이역시 불법 리베이트 혐의 때문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피해자는 결국 투자자

“동성제약 오늘 리베이트 터트렸는데, 왜 나머지 4개사는 발표 안 하는거야? 동성제약 며칠 내지 몇 주 동안 또 질질끌다 해결되면 나머지 4개사 또 발표해서 주가 지속적으로 폭락시키고. 도대체 왜 궁금증만 만들고, 불안하게 만드는 거야?”

청와대 청원 페이지에 올라온 청원이다. 청원 내용을 살펴보면 청원자는 불확실성을 우려하고 있다. 제약사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제약사 리베이트 사태가 나올때마다 안절부절한다.

제약업계의 불법 리베이트 사태는 결국 투자자의 피해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리베이트 후폭풍은 바로 주가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리베이트 제약사로 밝혀진 제약사 주가는 일제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보령제약은 9680원으로 전일 대비 370원 하락한 상태. 하나제약과 이연제약도 전일 대비 각각 1050원, 2200원 떨어졌다. 식약처 압수 수색이 진행됐던 동성제약은 무려 4100원 하락한 1만5100원을 기록 중이다.

제약업계의 해묵은 불법 리베이트 행위는 비난받아야 마땅하다는 목소리가 업계 내부에서도 나온다. 더욱이 엎친데 덥친 격으로 바이오 회계 이슈에 이어 제약 업계의 불법 리베이트 적발 사태는 한국 제약 바이오 산업의 큰 약점으로 작용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한 제약 업계 관계자는 “제약 업계의 불법 리베이트 사태는 그야말로 업계 자체를 초죽음으로 몰고가고 있다”며 “뼈 저린 반성과 재발 방지에 스스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국내 제약 산업 구조가 불법 리베이트가 아니면 매출을 올리기 쉽지 않은 구조”라며 “제네릭 위주에서 탈피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약 개발 등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정부가 만들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영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