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성 진통제, 소비량은 적지만 ‘의존성’은 높아

[사진=Johan Larson/shutterstock]
만성적으로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받는 환자 5명 중 1명은 의존 가능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약성 진통제 소비가 증가하면서 의존성, 오남용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우리나라 1인당 마약성 진통제 소비량은 연간 55밀리그램이다. 이는 전 세계 43위에 해당하는 수치로, OECD 평균 258밀리그램과 미국 678밀리그램에는 한참 못 미친다. 하지만 현재 국내 마약성 진통제 소비량은 아시아 3위로, 2005년에 비해 6배가량 증가했다.

4일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문지연 교수팀이 한국은 마약성 진통제 소비량은 적지만, 마약성 진통제 사용 관련 의존성은 21%로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이 높은 국가들의 오남용 발생률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문지연 교수팀은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6개 대학병원에서 마약성 진통제를 통증 조절 목적으로 처방 받고있는 만성 비암성 통증 환자 258명을 대상으로 마약성 진통제 사용 관련 의존성을 관찰했다.

마약성 진통제를 만성적으로 처방받는 환자 5명 중 1명꼴로 오남용의 가능성이 있다고 나타났다. 처방외복용, 과량복용, 잦은 처방전 분실 등 마약성 진통제 의존 가능성이 있는 평가항목 7개를 적용해 조사했을 때, 환자의 21%(55명)가 마약성 진통제 연관 의존성이 있었다. 이는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이 훨씬 많은 서구에서 보고되는 오남용 빈도 21~29%와 비교해도 낮지 않은 수치다.

연구팀은 “마약성 진통제 연관 의존성은 절대적 소비량에 상관없이 유사한 빈도로 나타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젊은 환자, 기능성 통증, 두경부 통증, 알코올·약물 남용, 우울증이 있을 때 마약성 진통제 연관 의존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마약성 진통제 연관 의존성을 보이는 환자는 하루 평균 모르핀 사용량이 약 169밀리그램으로, 의존성을 보이지 않는 환자보다 약 30% 더 높았다.

그간 우리나라처럼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이 많지 않은 나라에서 과도한 규제를 적용할 경우, 오히려 환자의 통증 조절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논란이 있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국내에서는 정확한 통계와 연구가 없었다. 이번이 국내 최초다. 특히 만성 비암성 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독보다는 단계가 낮은 ‘마약성 진통제 코핑’을 통해 조사한 연구로는 세계 최초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문지연 교수는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는 환자가 추가 처방을 위해 응급실을 방문할 때, 진통제에 대한 의존성으로 인한 사용 장애보다는 실제 통증 조절과 악화된 증상 치료를 위한 것인지를 먼저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통증 조절을 위해 진통제가 꼭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이 제한되는 것을 우려한 것이다.

이어 문 교수는 “국내에서도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더 증가할 것이 예상되는 만큼 마약성 진통제 사용 장애에 대한 평가와 이에 대한 대처에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희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