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질병, 1980년대에 머물러 있다

[사진=sevenMaps7/shutterstock]
11년 만의 남북 보건 회담이 성사된 후 북한의 보건의료 동향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북한의 질병 양상은 현재 남한과 약 40년 가까이 차이가 나면서도 고령화 문제까지 겹쳐 있다.

지난 7일 남북 보건 회담에서는 양국이 전염병 유입과 확산 방지를 위해 올해 안에 전염병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시범 사업을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또 전염병의 진단과 예방 치료를 위해 서로 협력하며 이를 위해 제기되는 실무적 문제들은 문서 교환 등을 통해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남북 보건 의료 협력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 19일 병원의료정책포럼에서 최근 북한의 보건의료 동향을 설명하는 자리가 있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황나미 박사는 북한이 김정은 체제 이후 ‘사회주의 문명국’을 표방하고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발전된 기술을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황 박사에 따르면, 현재 북한 의사 수는 인구 1000명당 3.5명(2016년 기준)으로 한국보다 높다. 이는 의과 대학 이외의 통신학부 과정을 통한 의사 양성과 조의사 제도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북한은 통신학부를 폐쇄하고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안·이비인후과에서 전문의 양성을 시도하고 있다. 의료비 재원은 월급의 1%를 사회보장비로 통합 징수한다.

북한 기대수명은 비슷한 GDP를 가진 국가보다 높은 수준이다. 최근 모성 사망비, 아동 사망률 및 영양 결핍률 등의 건강 지표 또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반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14년 기준 10.2%인 고령화 사회라 비감염성 만성 질환을 비롯한 백내장 등 안과 질환, 구강 질환 등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북한의 주요 사망 원인 중 결핵과 뇌졸중의 발병률은 여전히 높은 편이지만 영양 결핍 사망률은 상당히 감소했다. 황나미 박사는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1980년대 초기 질병 양상을 갖고 있으며 고령화로 인한 만성 질환이 공존하는 것이 특징”이라며 “특히 1990년대 심각한 영양 결핍을 겪은 세대가 출산 세대가 되면서 모성 건강 문제가 새로운 문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질병하면 빠지지 않는 결핵과 간염은 별도의 서비스 전달 체계를 구축해 일선 시·군 지역에서 요양소를 운영할 정도로 심각하다. 특히 지난해 결핵 유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513명으로 환자는 약 13만1000명이다. 이 가운데 다제 내성 결핵 환자는 5200명으로 세계보건기구(WHO)는 북한을 결핵 문제가 가장 심각한 30개국 가운데 하나로 지목했다.

황 박사는 “남북 보건의료 교류 협력은 한반도 건강 공동체를 구현하는데 목표를 두어야 한다”며 “2007년 남북 공동 선언 합의 사항을 기반으로 감염병 실태 조사와 정보 공유, 의료인 인적 교류를 통한 지식과 기술 공유, 병원 시찰 등을 추진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강조했다.

한반도 건강 공동체의 필요성은 남북 의료 교류에서 끊이지 않고 강조되는 개념이다. 양국의 교류가 활발해지면 감염병 문제, 건강 격차 등의 이슈가 빠질 수 없기 때문이다. 부족한 식수와 전기 공급, 교류 시 사고나 질병으로 치료를 받을 때의 원칙 등에 대한 다양한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

서창석 서울대병원장은 “보건의료 분야의 남북 교류 협력은 우리 의료계 전체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라며 “이 포럼을 계기로 향후 남북한 보건의료 협력의 바람직한 추진 방향을 논의가 지속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희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