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사태’ 3개월…문제 침대 18%만 해체

지난 5월 최초 보도된 ‘라돈 사태’로 생활 방사선 제품에 대한 국민의 불안이 커졌지만 조치 대상 매트리스 가운데 18퍼센트가량만 해체 작업이 진행된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윤일규, 윤호중, 이학영 의원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1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생활 속 방사능 물질 사용 얼마나 안전한가’ 국회 토론회를 공동 주최했다.

주제 발표에는 라돈 침대 사태 대처 및 생활 방사선 안전 관리와 관련된 원자력안전위원회, 특허청, 국가기술표준원,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정거래위원회 등 5개 부처가 나섰다.

채희연 원자력안전위원회 생활방사선안전과 과장은 라돈 사태 현황 발표를 통해 “7월 말부터 대진침대 본사에 보관된 매트리스 해체 작업을 재개했으나 충남 당진에 수거된 1만7000여 개 매트리스 분리 작업은 아직”이라고 했다.

8월 현재 생산량 기준으로 산정한 조치 대상 매트리스는 7만1000개, 수거 매트리스는 4만1000개, 해체 매트리스는 1만3000개로 전체 조치 대상 중 18.3퍼센트만 해체 작업이 이뤄진 것.

김혜정 시민방사능감시센터 위원장은 “지난 3개월간 국회에서 4번째 토론회가 이뤄졌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실질적으로 진행한 일은 48개 침대 회사에 실태 조사를 진행한 것뿐”이라고 했다.

김혜정 위원장은 “최근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된 신세계 계열사 까사미아 침구류, 중국, 동남아 등지에서 들어오는 라텍스 매트릭스에 대한 안전 문제도 제기됐다”며 “이는 모두 안전 관리 당국이 아닌 개인 소비자의 제보로 이뤄졌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까사미아는 침대 협회 소속 기업이 아니라는 이유로, 라텍스는 해외 직구로 들여온 제품이라는 이유로 충분한 안전성 조사를 진행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주영수 한림대학교 의과 대학 교수는 “최초 보도 직후 매트리스를 수거할 때 당국이 수거 인수증을 배포했으나 사실은 수거와 조사가 동시에 이뤄져야만 했다”며 “지금이라도 수거 과정 중에 피해 관련 조사가 가능하도록 절차를 재구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영수 교수는 “이번 사태의 피해자들은 여전히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지’를 가장 많이 묻고 있다”고 말했다. 주 교수는 “관계 당국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피해 당사자들에게 어떤 위험이 있을 수 있는지 충분히 전달하는 것이 안전 문제 해결에 가장 중요”하다며 “이러한 조치들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피해자들의 문의가 끊이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라돈 사태를 최초 보도한 강청완 SBS 기자는 “이번 사태로 인해 관련 부처의 업무가 폭증한 것은 사실이나 결국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권한을 가진 정부가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며 “정부의 선제적 조치가 아닌 개인 소비자의 제보로 안전 시스템의 허점을 발견하게 된다면 결국 사태가 장기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VGstockstudio/shutterstock]

    맹미선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